학술논문
비행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HTP 반응 특성연구
이용수 2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T-P responses by the delinquency typ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동연,오영환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4권 제1호, 125~1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01.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적 일탈행위로서의 비행이란 넓은 의미에서의 모든 반사회적 행위를 포항하는 개념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청소년의 비행으로 국한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즉, 청소년 비행이란 성인들에 의해 수행되었다연 범죄가 구성되는 것으로 청소년들에 의한 반사회적 행동양상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소년의 비행범위를 성인의 범죄로부터 분리하여 취급하고자 청소년 비행의 개념을 설정하고 있으며, 소년법에서는 이를 범죄소년, 우범소년 및 촉법소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외에도 소년 경찰의 보호대상에는 불량행위소년과 요보호소년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비행이나 범죄의 원인에는 여러가지 이론이 대두되고 있다. 즉, 유전적 원인, 심리적 결함, 정신적 질환, 가정환경의 문제, 문화갈등 및 매스컴, 지역적 조건, 교육환경 등 다양한 원인론들이 이론적 연구를 통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의 문제를 청소년 개인적 조건으로 설명하려는 이른바 고전적 이론에서 벗어나 사회적, 시대적 조건 함수라는 설명이 최근에 강하게 대두되어 청소년 비행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서도, 범죄행위와 비행에는 심리적·정신적인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심리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 왔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violent delinquents vs. the property delinquents utilizing HTP. In order to pursue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employed 208 juvenile delinquencies (the property crimìnals. 108 violent criminals. 100). The
criteria employed by the present study were based on Buck\'s (1948) HTP. and Marzolf & Kirchner (1970).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ten items dìfferentiatìng groups based on HTP. More specifically. property criminals were higher in the following items : ① the location of the house in the left side. ② round shape of the tree. ③ small size of the person. ④ inactivity posture of the person. and ⑤ childish expression of the person.
On the other hand violent crimials were higher in the following items : ① the locatìon of the house in the center. ② the existence of the mouth of the person. ③ inclusion of the horizontal line beneath the house. ④ the existence of the root of the tree. ⑤ more than two male characteristics.
Seco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seem to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criteria to differentìate the groups there were five items from the person. whereas there were only three and two items from house and tree respectively. Thus, the present findings imp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could be useful criteria to distinguish the violent groups from the property one.
Third. based on HTP analysis. each group seems to b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atterns in terms of personalities. Property criminals have tendencies towards introversion and past-oriented. more frequent verbal conf1icts in interpersonal interaction. more wary attitudes towards others less honesty. lower self-esteem with higher complex and helplessness, more rigid personality and more immature and reg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violent criminals are characterized b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