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학생의 학업성취 실태와 영향 요인 탐색*
이용수 1,825
- 영문명
-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Influencing Facto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오성배(OH SUNGBAE),김성식(Kim Sung-Sik)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8권 제2호, 215~2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 학생의 학업성취 실태 및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 다문화 학생들의 학업성취, 학습 특성, 학습 환경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종속변인으로, 관련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과목에서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 간에 학업성취 수준
의 차이가 있었고,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가 의미 있게 남
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입된 변인들 중에서 교과흥미, 학생 및 부모의 기대학력, 수
업태도, 사교육 시간 등의 변인들이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타
났다.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두 집단 간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문화 학생 집단은 비다문화 학
생과는 달리 지역 규모(중소도시), 친구 관계, 사교육 시간 등의 변인들이 학업성취에 의
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다문화 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가 불리한 가정환경 외에도 학생들의 특성 또는 학습 경험과 상당 부분 관련되
어 있으며, 지역에 따른 심화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제기한다. 또한 학력부진 다문화 학
생 지원을 위해서는 친구 관계의 향상, 학교 밖에서의 학습경험(멘토링, 방과후 프로그램
등)의 보완적 제공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factors influencing it.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achievement,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nviron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 as a dependent variable and related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of every subject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Even after controlling other
variables, the difference remained significant. Among the variables, subject interest, student s and
parent s expected education level, class attitude, and private tutoring tim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Multicultural students, variables such as region,
friendship, and private tutoring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improve friendships, and provide more learning experiences out of school
such as mentoring programs to support multicultural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W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디자인씽킹 기반 STEAM교육에서 중학생의 학습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적정기술 기반 초등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교사의 교직사회 적응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초임교사는 어떻게 기성교사가 되어 가는가?
-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초등영어 수업 컨설팅 사례: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에서 제시된 예비 과학 교사의 질문 분석
- 영어 수업에서 과제 중심 문화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능력 신장 연구*
-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정보교육 교사들의 인식 비교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포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광주지역 초등 예비교사의 식생활능력 및 인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초등 교사의 프로젝트 수업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
- 교사의 인성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체육 교과서 ‘표현’ 영역 집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교실 밖 소재를 활용한 수학 학습 지도
-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 개발 및 적용
- 다문화 학생의 학업성취 실태와 영향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