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포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349
- 영문명
- Factors on Educational Aspiration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윤홍주(Yun, Hong-ju)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8권 제2호, 133~1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해 2015년‘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초․중․고생 5,619명의 자료를 활용
하였으며,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특성 중 연령,
교육지원 경험, 사교육 경험,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학습지원에 대한 필요정도, 사
회․경제적 특성 중 부모의 학력과 가구소득, 가족특성 중 형제서열, 이민자의 국적 등은
광범위하게 교육포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와의 관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등 사회․
심리적 측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학습 및 진
로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포부에 대한 설계와 결정에 도움을 제공할 필요가 있
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를 대상으로 우리의 교육시스템, 제도, 정책, 문화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전문가와 교육 및 지역공동체 형성을 통
해 교육에 대한 제한된 지식과 교육포부를 확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와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youth of multicultrual family in Korea likely to face a myriad of challenges in and out of
school. Using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nalyzed. An ordered logit model found that the personal, socioeconomic and family factors
widely affected th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Key finding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provide proper social support to build parent-child relationship,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migrant adolesc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bove and beyond the influence of low socioeconomic
status. Second, the appropriate career guidance and academic support programs need to be
provided.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it is important to provide parents with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Korean education system and educational aspirations.
Professionals on aspirations and local communities may help immigrant parents to enhance
knowledge and educational aspir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대상 및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W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디자인씽킹 기반 STEAM교육에서 중학생의 학습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적정기술 기반 초등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교사의 교직사회 적응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초임교사는 어떻게 기성교사가 되어 가는가?
-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초등영어 수업 컨설팅 사례: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에서 제시된 예비 과학 교사의 질문 분석
- 영어 수업에서 과제 중심 문화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능력 신장 연구*
-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정보교육 교사들의 인식 비교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포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광주지역 초등 예비교사의 식생활능력 및 인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초등 교사의 프로젝트 수업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
- 교사의 인성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체육 교과서 ‘표현’ 영역 집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교실 밖 소재를 활용한 수학 학습 지도
-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 개발 및 적용
- 다문화 학생의 학업성취 실태와 영향 요인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