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에서 제시된 예비 과학 교사의 질문 분석

이용수  310

영문명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Ques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지윤(Kim,Ji-Yu),최원호(Choi,Won-Ho)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38권 제2호, 21~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 교사들이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 하면서 제시한 질문을 분석하여, 예비 과학 교사들의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인식과 수업 적용 시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이다. 질문을 분석한 결과, 재구성 유형의 질문 비율이 가 장 높았으며, 변칙발견, 적용, 확장, 회상, 모순 유형의 순서로 비율이 감소하였다. 재구 성 유형의 질문은 주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제기되었으며, 변칙발견, 적용, 확장 유형의 질문은 예비 과학 교사들이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제 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수학습 모형을 학습하는 목적이 수업의 질을 향상시 키는 것임을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충분히 이해시켜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는 동안 인과적 질문이나 적용 관련 질문을 하도록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요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 과학 교사들이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 전 수업 참관이나 수업 영상 시청 등을 통해 수업 상황을 미리 경험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탐구 과정을 강조한 교수학습 모형의 학습을 통해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 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수업의 목적이 교수학습 모형의 이해에 한정되지 않도록 예비 과학 교사들이 교수학습 모형을 다양한 학습 이론이나 과학 탐구방법과 관 련 지어 질문하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it to class. To this aim, we categoriz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questions raised when making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estion, the percentage of reframe typ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the ratio decreased in order of the anomaly detection, application, extension, recall, and contradiction type. The questions of reframe type were raised mainly for understan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the questions of anomaly detection, application, and extension type were rais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irs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fully understand that the purpose of lear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ssons.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ask causal questions or application questions while making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ird, it is necessary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experience authentic class situation in advance through visiting classes or watching class videos before making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urt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 participation clas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hrough the learn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emphasizing the inquiry process. Fifth, it is necessary to guid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ask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relation to various learning theories or scientific inquiry methods so that the purpose of the lesson is not limited to the surface-level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윤(Kim,Ji-Yu),최원호(Choi,Won-Ho). (2018).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에서 제시된 예비 과학 교사의 질문 분석. 교육논총, 38 (2), 21-40

MLA

김지윤(Kim,Ji-Yu),최원호(Choi,Won-Ho).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에서 제시된 예비 과학 교사의 질문 분석." 교육논총, 38.2(2018): 2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