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 5년간의 분석과 전망
이용수 14
- 영문명
- An Analysis of In-Training Examination for the Psychiatric Residents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강웅구 구민성 서호석 윤보현 이경욱 전덕인 정성훈 정성훈 정한용 최종혁 하태현 정인원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8권 제5호, 359~36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in-training examination (Performance Examination, PE) for psychiatric residents
in Korea was launched 5 years ago by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KNPA). This article
analyzes 5-year accumulated data on the PE, and tries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PE.
Methods The 5-year data, previously utilized for the generation of formal annual reports were reanalyzed,
with an emphasis on longitudinal trends.
Results The analyses indicated the following;1) Higher-year residents earned definitely higher
scores than their lower-year colleagues on the PE. This trend wa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area
of psychopharmacology-biological psychiatry, geriatric psychiatr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the emergency-organic psychiatry. There was no year-related performance difference in the
area of psychoses. 2) In the area of anxiety-somatization disorder, psychophysiological disorder,
and geriatric psychiatry, the residents in th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outperformed those in
the specialized psychiatric hospitals. 3) Through analyzing multiple-times examinees, it was found
that their first-and second-time performances were moderately correlated, and that their ranks tended
to improve, demonstrating a continuously impro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raining year.
Conclusion These result suggested that the KNPA PE is a feasible measure for the estimation of
an individual resident’s performance as well as the adequacy of th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training institute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과 의무기록 작성지침 개발 및 적용 후 입원의무기록의 질적 변화 비교 연구
- 다양한 신체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부종양성 근강직증후군 1예
- 교정시설에서의 자살시도 특징 및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 장수와 치매의 예방
- 강박장애의 임상적 특징과 충동성의 관련성
-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정서유발단어에 의한 정서 반응성
-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 5년간의 분석과 전망
- 영상물을 이용한 환자 만남 방식과 강의식 교육방식이 일반 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약물치료력이 없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소아청소년에서 후두-측두 연결성: 확산 텐서 영상 예비 연구
- 일 대학교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 높은 초조 또는 낮은 초조 증상을 경험하는 정신분열병 급성기 입원환자의 아리피프라졸 치료 효과
- 한국어판 대인 관계 반응성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정신분열병, 정신증 임상적 고위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시상 용적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