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수와 치매의 예방
이용수 12
- 영문명
- Longevity and Dementia Preventio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전진숙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8권 제5호, 307~31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of dementia prevention.
Methods An internet searchof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6 thru 2008 was done using combinations
of the words‘dementia’ and‘prevention’. These publications were subsequently reviewed.
Results 1) Reduction of risk factors:control of vascular risk factor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obesity, hypercholesterolemia, smoking, hyperhomocysteinemia, and platelet aggregation) and
medical risk factors (head trauma, depression, herpes simplex, hyperthyroidism, and alcohol problems).
2) Pharmacological trial:NSAIDs, selective COX-2 inhibitors,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antioxidants. 3) Healthy diet and nutrition:macronutrients (poly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omega-3, alpha-linolenic acid, docosahexaenoic acid) and micronutrients (vitamins such as vitamin
A, vitamin B1, 3, 6, 9, 12, vitamin C, vitamin D, vitamin E, vitamin K;minerals such as iron,
iodine, magnesium, zinc, manganese, copper, cobalt, selenium;trace elements;and non-essential
micronutrients such as polyphenols). 4) Regular excercise and activities: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aerobics, flexibility, and strength exerrcises;Recreational activities including participation in
religious or social activities, healthy sex life with partner, and stimulating cognitive activities.
ConclusionZZThe final goal of dementia treatment is primary prevention. However, there is no proven
method to achieve this. Therefore, secondary prevention or preventative maintenance through
risk reduction and introduction of a healthy lifestyle in an attempt to postpone the onset of disease
is a realistic goal.
목차
서 론
치매의 과정과 위험인자
위험인자 감소
약물학적 예방
영양과 식사조절
신체적 운동과 기타 활동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과 의무기록 작성지침 개발 및 적용 후 입원의무기록의 질적 변화 비교 연구
- 다양한 신체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부종양성 근강직증후군 1예
- 교정시설에서의 자살시도 특징 및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 장수와 치매의 예방
- 강박장애의 임상적 특징과 충동성의 관련성
-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정서유발단어에 의한 정서 반응성
-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 5년간의 분석과 전망
- 영상물을 이용한 환자 만남 방식과 강의식 교육방식이 일반 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약물치료력이 없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소아청소년에서 후두-측두 연결성: 확산 텐서 영상 예비 연구
- 일 대학교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 높은 초조 또는 낮은 초조 증상을 경험하는 정신분열병 급성기 입원환자의 아리피프라졸 치료 효과
- 한국어판 대인 관계 반응성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정신분열병, 정신증 임상적 고위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시상 용적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