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rends in Korean Coaching Studies Using Art Media: Focus o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2014 to 2024
- 발행기관
- 한국표현예술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안현정 정유진
- 간행물 정보
- 『표현예술심리상담연구』제3권 제2호, 5~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예술 매체를 활용한 코칭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예술과 코칭의 융합이 갖는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향후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과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발표된 국내 학술지 및 석·박사학위 논문 총 171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연도별·형태별·대상별·주제별·예술 매체별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로는 2020년 이후 연구의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사회·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예술매체 기반 코칭의 필요성이 확산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형태별로는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다소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는 학술지가 연구의 타당성과 연구의 질적 우수성을 점검하는 데 있어서 공신력 있는 체계이자 연구 결과 확산의 표준 통로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대상별 연구 동향에서는 가족 대상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청소년 대상 연구가 뒤를 이었다. 이는 언어적 표현이 미성숙한 유· 아동의 발달 특성상 미술·놀이와 같은 비언어적으로 자기표현이 가능한 예술 매체의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넷째, 연구 주제는 프로그램 개발과 코칭 심리 관련 주제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는 예술매체 기반 심리 코칭의 실질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 프로그램을 마련하려는 요구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예술 매체는 미술과 문학· 독서· 그림책의 활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는 재료적 접근성과 참여자에게 익숙하고 활용성이 높은 매체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예술 매체 기반 코칭 연구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다양한 매체와 대상, 환경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논의하며, 관련 분야의 학문적 기반 구축에 기초 자료로서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convergence between art and coaching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art-media–based coaching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research activ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1 studies-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master’s and doctoral theses-published from 2014 to 2024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focused on the trends by tear, research type, subject group, topic, and type of art medium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markedly after 2020,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art-media-based coaching in response to changing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Second, journal articles accounted for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than theses, suggesting that academic journals function as credible systems for verifying research validity and quality, as well as serving as standard channels for disseminating research outcomes. Third, in terms of research participants, studies targeting familie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studies on adolescents. This indicates that the use of art media such as art and play-which enable nonverbal self-expression-has been particularly active due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immature verbal expression. Fourth, the main research topics were program development and coaching psychology, reflecting a strong demand for confirming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art-media-based psychological coaching and for developing concrete program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ield. Fifth, among the types of art media, visual art literature, reading, and picture book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suggesting that researchers favored media with high material accessility and familiarity to participants. Overall,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art-media-based coaching research, discusses the potential for expansion across diverse media, participants, and contexts, and contributes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an academic basis for the field.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