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분열병, 정신증 임상적 고위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시상 용적에 관한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Thalamic Volume in Schizophrenia Patients, Subjects at Ultra-High Risk for Psychosis and Control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전명욱 정위훈 최정석 정명훈 김지원 최치훈 권준수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8권 제5호, 314~31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alamic volumes in subjects at ultra-high risk (UHR) for
psychosis. Subjects manifest changes which are similar to but different from those found in subjects
with schizophrenia, and thalamic structural changes were often reported in schizophrenic subjects.
Methods Thalamic volumes of 29 UHR subjects, 31 subjects with schizophrenia and 29 healthy
controls, were measured from their T1-weighted coronal magnetic resonance (MR) images using
manual tracing.
Results UHR subjects showed greater right (6.243±0.848 cm3) and total (12.254±1.532 cm3) thalamic
volumes compared to healthy control subjects (right thalamic volume=5.527±0.715 cm3, total
thalamic volume=11.058±1.490 cm3) 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right thalamic volume=5.855±
0.938 cm3, total thalamic volume=11.513±1.784 cm3).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for right (F=
5.837, p=0.004) and total (F=4.217, p=0.018) thalamic volumes after intracranial volume had been
accounted for as a covariate in ANCOVA. However, thalamic volume of subjects with schizophreni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s. This difference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or the magnitude of psychotic symptoms. Those among the UHR subjects
taking antipsychotic agents did not show enlarged thalamic volume compared to control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of a volumetric alteration of the thalamus characteristic
of the UHR state.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과 의무기록 작성지침 개발 및 적용 후 입원의무기록의 질적 변화 비교 연구
- 다양한 신체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부종양성 근강직증후군 1예
- 교정시설에서의 자살시도 특징 및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 장수와 치매의 예방
- 강박장애의 임상적 특징과 충동성의 관련성
-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정서유발단어에 의한 정서 반응성
-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 5년간의 분석과 전망
- 영상물을 이용한 환자 만남 방식과 강의식 교육방식이 일반 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약물치료력이 없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소아청소년에서 후두-측두 연결성: 확산 텐서 영상 예비 연구
- 일 대학교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 높은 초조 또는 낮은 초조 증상을 경험하는 정신분열병 급성기 입원환자의 아리피프라졸 치료 효과
- 한국어판 대인 관계 반응성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정신분열병, 정신증 임상적 고위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시상 용적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