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이용수  351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Applied by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학회
저자명
최미영(Mi Young Cho)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2호, 157~1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사회정서학습(SEL)의 실행 전략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음악교과 SEL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SEL과 협동학습의 이론적 고찰을 한 후,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수업모델을 탐색 및 선정하고, 프로그램 개발방향, 개발과정, 구성방향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구조화된 SEL 프로그램 중 Strong Kids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차시별 주제, 주요내용과 활동, SEL핵심역량, 협동학습 구조를 구상하여 음악수업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SEL음악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활용방안 및 지도상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 음악교과와 연계한 SEL의 기회 부여는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 사회성 발달, 학업적 성취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고, 사회정서적 유능성의 증진은 궁극적으로 전인적 인간 육성과 건강한 사회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Applied by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Who show a considerable increase in social and emotional maladjustment as a Part of strategy for implementing SEL in school curriculum. To this end,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theories on SEL and cooperative learning, then investigated SEL models, selected one of them, and set up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rocess, and instructional goals for the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Next, based on Strong Kids program developed by Kenneth, W. Merrell, this study constructed program themes, objectives, instruc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and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Also, lesson plans were developed to apply the program in music classes. Lastly, the practical use and teaching consideration were discussed to implement the program effectively. The opportunity of music subject related SEL can lead the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social skills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improvemen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growing as a whole man and making healthy society

목차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1.사회정서학습의 목표 및 내용
2.사회정서학습의 효과
3.사회정서학습을 위한 협동학습
4.음악활동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의 효과
Ⅲ.초등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개발
1.초등 SEL수업모델 탐색 및 선정
2.초등 음악교과 SEL프로그램 개발방향
3.초등 음악교과 SELSEL프로그램 개발과정,구성 및 목표
4.초등 음악교과 SELSEL프로그램 내용
Ⅳ.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영(Mi Young Cho). (2017).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음악교육연구, 46 (2), 157-178

MLA

최미영(Mi Young Cho).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음악교육연구, 46.2(2017): 15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