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강숙의 삶과 음악교육관에 대한 역사적 조망
이용수 221
- 영문명
- A Historical Perspective on Kang-Sook Lee`s Life and His Thoughts on Music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문경숙(Kyung-suk Mo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2호, 51~7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음악계의 거성 이강숙에 대한 연구로 인터뷰를 통한 구술 역사방법을 통해 이강숙의 삶과 음악교육관을 역사적으로 조망했다. 특히 1980년대 그를 통해 한국에 유입된 미국의 최신 음악교육사조인 MMCP의 도입 전후의 경위와 그 영향을 역사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이강숙의 음악교육관과 그의 업적을 평가해 보았다. 연구의 주제는 1)그의 삶, 2)로날드 토마스와의 만남, 3)MMCP를 보는 시각, 4)한국 음악교육에 대한 고언(苦言)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이강숙은 MMCP를 당대에 한국에 들여오고 또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설립을 성공시킴으로써 한국의 현대 음악교육을 크게 활성화 시키는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그는 세계적인 음악교육사조의 흐름을 열정적으로 흡수하고 한국에 빠르게 전파함으로써 한국 음악교육이 세계적인 음악교육사조의 흐름에 동참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의 최종 결론은 현대 한국음악교육 발전에 기여한 중요 음악교육가들을 발굴하고 그들과 관련된 사료를 보관 전수하는 작업을 적극 추진해야 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Kang-Sook Lee, the first Korean scholar who received a doctoral degree in music education, was the first president of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view Kang-Sook Lee`s life and his thoughts on music educat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tilized oral history technique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Kang-Sook Lee. Also, the related iterature was utilized for the study. The interview topics which were agreed upon by the researcher and Kang-Sook Lee were as follows: 1) general life overview, 2) encounter with Ronald B. Thomas, 3) perspectives on the MMCP, and 4) recommendations for Korean music education. Kang-Sook Lee, one of the major leading figures in Korean contemporary music history, first brought the MMCP to Korea and made major contributions to further improve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 contemporary period.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further historical studies on major Korean music educators could be conducted and thus fill a void in the historical research field on Korean music education.
목차
Ⅰ.서론
Ⅱ.연구방법
Ⅲ.이강숙 그의 삶:거창한 음악 드라마
Ⅳ.로날드 토마스와의 만남
Ⅴ.MMCP를 보는 시각
Ⅵ.한국 음악교육에 대한 고언(苦言)
Ⅶ.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교육연구」학술지에 보고된 유아음악교육 연구동향 분석: 1988년∼2016년 논문을 중심으로
- 이강숙의 삶과 음악교육관에 대한 역사적 조망
- CIPP평가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아동 음악교육 프로그램 발전방안 연구
- 음악교육동향 2017 콜로키움 & 워크숍
-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관계 연구
- 일지와 토론을 활용한 중등 음악 생활화 영역 지도방안 개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 음악 콩쿠르 참가 경험이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생활화 영역의 음악적 역량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