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활화 영역의 음악적 역량 지도 방안 연구
이용수 717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structio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mpetency in `music in everyday life` domai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임은정(Eun-jung Li)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2호, 81~1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에 관한 음악적 역량의 지도 방안의 탐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활화 영역의 내용체계·성취기준·성취기준 해설과 음악적 역량의 종류·정의에 근거하여 각 음악적 역량에 적용 가능한 생활화 영역의 활동을 제시하고, 생활화 영역의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해설에 따른 생활화 영역 활동과 음악적 역량의 예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생활화 영역의 역량 이해에 따라 음악적 역량을 적용한 주제 중심의 생활화 영역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앞으로 음악과교육과정은 각 내용 영역에 따른 음악적 역량 적용 방안을 제시하여 음악적 능력과 역량이 함께 육성될 수 있는 효과적인 음악 교육과정의 실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structio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mpetencies in `music in everyday life` domain that was newly revised in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in 201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 methods based on the structure of musical competency, the criteria and its explanation of achievement in music subject, and six types and its definition of achievement in music subject presented in the 2015 music curriculum. This study classified some examples of activities in everyday life that can be applied to each musical competency, illustrated those examples based on the criteria and its explanation of achievement in music subject, and suggested, as its result, a subject-based instruction method for the criteriaof `music in everyday life` domain. This study implies that national music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ontents of each musical competency, suggest concrete examples of activities, amd seek instruction methods for realizing an effective music education.
목차
Ⅰ.연구의 개요
Ⅱ.이론적 배경
1.역량과 역량교육
2.2015개정 교육과정과 음악적 역량
3.2015개정 교육과정과 생활화 영역
Ⅲ.생활화 영역의 음악적 역량
1.생활화 영역의 음악적 역량 이해
2.생활화 영역의 음악적 역량
3.생활화 영역의 음악적 역량 지도안
Ⅵ.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교육연구」학술지에 보고된 유아음악교육 연구동향 분석: 1988년∼2016년 논문을 중심으로
- 이강숙의 삶과 음악교육관에 대한 역사적 조망
- CIPP평가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아동 음악교육 프로그램 발전방안 연구
- 음악교육동향 2017 콜로키움 & 워크숍
-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관계 연구
- 일지와 토론을 활용한 중등 음악 생활화 영역 지도방안 개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 음악 콩쿠르 참가 경험이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생활화 영역의 음악적 역량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