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 음악을 통한 유아기 다문화 음악 교육의 운영 방안 모색
이용수 199
- 영문명
- The Investigation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Childhood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 Jung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3호, 323~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전통 음악을 통한 다문화 음악 교육의 운영 방안을 모색 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M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4세반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전통 음악을 통한 다문화 음악교육 접근을 실행하였다. 베이커(G.Baker)의 다문화 교육 단계를 수정하여, 1단계 탐색하기, 2단계 연계하기, 3단계 통합하기 과정으로 적용하였다. 전통 음악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을 통해 유아의 사전 경험과 지식을 확장시키고, 새로운 언어에 대한 관심을 보였으며,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개념 및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발달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유아기 다문화 음악 교육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childhood. I executed on the model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30 four-year-old children at M elementary school`s kindergarten in Seoul for four weeks. This study applied the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regulated the Baker`s multi-cultural education stages: first step exploration, second step connection, and third step integration. Consequently, children showed an extension of previous experience and knowledge, an interest in new language, and developed positive self conception and perspective taking. This study hopes to be utilized as a base study for future studies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childhoo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과 요리 활동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피아노 교재 선택요인 분석 및 만족도 조사
- 초등학교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수업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 음악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능력 믿음의 관계
- 대학 피아노 전공 지도교수의 레슨 지도 담화와 학생의 레슨 경험 관계
-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미국 개념적 접근법의 발전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아 카펠라를 활용한 초등학교 합창수업 지도방안 연구
- 전통 음악을 통한 유아기 다문화 음악 교육의 운영 방안 모색
- 법무부 산하의 특성화 학교인 고봉중,고등학교에서 음악을 적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음악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 음악영재의 환경인식 및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
- 음악교과서 발전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