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아노 교재 선택요인 분석 및 만족도 조사
이용수 246
- 영문명
- Selection and Satisfactory Level of Piano Method Book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정완규(Wan Kyu Ch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3호, 275~29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피아노 교육 현장에서 피아노를 가르치는 선생님들을 대상(n=154)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피아노 교재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준 요인과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피아노 교재는 피아노 어드벤처, 알프레도, 베스틴 순으로 나타났으며, 피아노교재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교재의 구성과 형태, 그리고 교재내용이 피아노교재를 선택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베스틴, 클라비어, 알프레드 순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재가 반드시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ived factors that influenced choice of various piano method books used in current piano teaching settings and the satisfactory levels for each of the selected piano method book chosen by the one hundred and fifty four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survey.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 Piano Adventures, Alfred, and Bastien were favored in respective orders. According to the study, crucial factors in selecting the piano method book were structure and formal layout of the materials and the relevance and level of the informations covered in the piano method books. Furthermore, Bastien, ranked the highest in the satisfactory level among the piano method books widely used in current piano teaching settings followed by Klavier, Alfred.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most widely distributed and used piano method book is not necessarily proportional to the actual satisfactory level of the piano method books. Certain deviations were evident in the most commonly used piano method books and the figurative satisfactory level of the piano method book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과 요리 활동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피아노 교재 선택요인 분석 및 만족도 조사
- 초등학교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수업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 음악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능력 믿음의 관계
- 대학 피아노 전공 지도교수의 레슨 지도 담화와 학생의 레슨 경험 관계
-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미국 개념적 접근법의 발전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아 카펠라를 활용한 초등학교 합창수업 지도방안 연구
- 전통 음악을 통한 유아기 다문화 음악 교육의 운영 방안 모색
- 법무부 산하의 특성화 학교인 고봉중,고등학교에서 음악을 적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음악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 음악영재의 환경인식 및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
- 음악교과서 발전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