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능력 믿음의 관계
이용수 96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beliefs and achievement goals among music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윤보나(Bo Na Yoon) 한지희(Ji Hee Ha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3호, 59~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2X2 성취목표지향성과 능력 믿음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들을 통해 4 가지 요인의 성취목표지향성(숙달 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과 능력 믿음(실재 믿음, 증가된 믿음)에 대해 8가지의 가설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립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과 경기 소재의 음악대학 전공자 129명으로 하였으며,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기량을 숙달하려는 성취목표 성향이 큰 학생은 예술적 능력이 학습과 노력을 통해 증가된다고 보는 증가된 믿음을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숙달회피 성향을 가진 대학생은 예술적 능력이 타고난 재능이며 학습과 노력에 의해 크게 바뀌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능력 믿음에 대해 시사점과 후속과제가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paper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2x2 achievement oriented objective and belief in competence. First of all, through previous conducted studies on 4 factors of each ``achievement oriented objective (mastery approach, proficiency avoidance, training approach, effort avoidance) and ``belief in one`s artistic competence``(actual belief, growing belief), we had came up with 8 hypothesis to establish our research model. We had sampled 129 college musicology students who lived in Seoul city and GyungGi province. The research model was conducted wi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s that goal oriented students who craft their skills for much higher achievement tends to increase their confidence. In other words, the students believed that their work ethic are highly rewarding. On the other hand, ``effort avoiding`` students tends to be the more talented group.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ir effort in learning is ineffectual. Instead of using ``achievement oriented objective`` and ``belief in one`s artistic competence`` as a theoretical measurement in research studies, we have to look over the student`s actually musical performance to test their overall musical tal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과 요리 활동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피아노 교재 선택요인 분석 및 만족도 조사
- 초등학교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수업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 음악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능력 믿음의 관계
- 대학 피아노 전공 지도교수의 레슨 지도 담화와 학생의 레슨 경험 관계
-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미국 개념적 접근법의 발전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아 카펠라를 활용한 초등학교 합창수업 지도방안 연구
- 전통 음악을 통한 유아기 다문화 음악 교육의 운영 방안 모색
- 법무부 산하의 특성화 학교인 고봉중,고등학교에서 음악을 적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음악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 음악영재의 환경인식 및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
- 음악교과서 발전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