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피아노 전공 지도교수의 레슨 지도 담화와 학생의 레슨 경험 관계
이용수 13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Discourse and Student Experience in College Applied Piano Lesson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은(Ji Eun Choi) 배수영(Su Young Bae)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3호, 297~3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피아노 전공 레슨에서 지도교수의 담화와 학생들이 레슨 시 느끼는 감정과 몰입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 대학에 출강하는 피아노 전공 레슨 지도교수 7명과 14명의 학부 4학년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지도교수의 담화는 각 지도교수마다 2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각 1회 레슨을 녹화하여 분석하였고 학생의 레슨 경험은 레슨 직후 작성한 응답지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지도교수의 담화는 스캐폴딩과 비-스캐폴딩 언어로 분류하여 레슨의 완전 순차적 지도 단위와 학생의 레슨 경험과의 상관관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도교수의 스캐폴딩 언어 사용률이 증가할수록 지도교수의 완전 순차적 지도 단위도 늘어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학생들의 레슨 경험 수준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discourse and student experience in college applied piano lessons. Participants included 7 college piano teachers and 14 senior undergraduate students. Teacher discourse was analyzed for the types scaffolding or non-scaffolding language. Subsequent analysis examined how that language was used within complete sequential units of instruction. Student reflective self-reports, completed after each rehearsal, were examined to reveal correlations with teachers` instructional language. According to the results, complete sequential units increased as total scaffolding language increased. Stud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perceived challenge and skill during lessons with greater amounts of scaffolding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eacher scaffolding language use, complete sequential units of instruction, and quality of student experience during college applied piano less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과 요리 활동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피아노 교재 선택요인 분석 및 만족도 조사
- 초등학교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수업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 음악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능력 믿음의 관계
- 대학 피아노 전공 지도교수의 레슨 지도 담화와 학생의 레슨 경험 관계
-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미국 개념적 접근법의 발전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아 카펠라를 활용한 초등학교 합창수업 지도방안 연구
- 전통 음악을 통한 유아기 다문화 음악 교육의 운영 방안 모색
- 법무부 산하의 특성화 학교인 고봉중,고등학교에서 음악을 적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음악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 음악영재의 환경인식 및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
- 음악교과서 발전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