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국악) 영재 판별을 위한 부모 관찰정보지의 문항개발 및 적용
이용수 78
- 영문명
- A Study on the Observation Scale for Parents of the Gifted(OSPG) i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원영실(Young Sil W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1호, 241~27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1년부터 예술영재교육 선발 과정에 관찰추천제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에 따라 판별과정 1단계에 부모 관찰정보지가 투입되었다. 그러나 사전 준비 없이 도입됨으로써 적지 않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관찰추천 영재 판별의 첫 단계에 투입되는 부모 관찰정보지의 문항을 개발하고 그 적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관찰지의 문항신뢰도는 Cronbach`a=.771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총 44개의 문항으로 최종 수렴되어 구성된 부모 관찰지의 문항은 추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더욱 높은 수준의 구인타당도를 지지받을 때 음악(국악) 영재교육 현장으로의 실질적인 적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영문 초록
The new method of identification(so called the method of observation & recommendation) for the gifted i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was applied to the gifted education in Korea. So the check-list for parents of the gifted was involved in the 1st step of identification. But it emerged that many problems with relevant to validity of identification. The government requires the differentiated structure of gifted education. The valid discrimination tool is necessary for the arrangement of education policy and getting a national budget, supporting of positive psycho-social mood to the gifted. I have developed the observation scale for parents of the gifted (OSPG) i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that is one of scale for discrimination and identification. Furthermore I have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OSPG.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OSPG verified cronbach`s a=.771. In order to construct valid OSPG,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82 item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I collected 44 items finally. The validity of OSPG will be supported aft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ll have conducted through follow-up research. I expect the input of OSPG to gifted educational fields, and rising diverse debates about the method of identification to the gifted i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내 뮤지컬학과의 개설현황 연구
- 유아교사의 음악수업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 연구
-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연주경험과의 관계
- 음악영재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 음악 수업 컨설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 국내 피아노페다고지 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주제 조사연구
- 신라의 예악(禮樂) 사상이 현대음악교육에 주는 교육적 의미
- 주제중심의 통합적 국악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민요 장단의 달고 맺는 구조에 관한 연구
- 음악(국악) 영재 판별을 위한 부모 관찰정보지의 문항개발 및 적용
- 외국의 초등학교 1,2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