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음악수업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 연구
이용수 330
- 영문명
- A Study on Music Teaching Practice of Kindergarte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영(Ji Young Yoon) 임승렬(Seung Ryoul L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1호, 113~14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심층면담을 통해 음악교육내용을 어떻게 계획, 실행 평가하는지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음악수업 과정을 직접 관찰함으로서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는 음악교육을 ``새 노래 부르기``와 ``전희활동`` 및 ``주의집중의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음악수업은 실제로 주로 대그룹 시간 중에 ``새 노래 부르기`` 위주로 진행되었다. 또한 악기연주와 신체표현도 새 노래와 관련된 활동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업에 대한 평가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으로는 음악교육내용지식의 부족 및 교수방법의 어려움, 새로운 시도에 대한 어려움, 교사 연수 참여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ontents of music education are planned, executed, and assess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kindergarten teachers as well as to analyze specific teaching methods by observing kindergarten teachers` music teaching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music education as ``singing a new song``, ``transition activity``, and ``tool for attention``. As for the practice of music teaching, kindergarten teachers mainly directed ``singing a new song`` during the group time. In addition to that,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nd body expression were also conducted as a related exercise of a new song while assessments of classes were not made in general. Kindergarten teacher mentioned some difficulties about the music education; They were tack of knowledge to music education. It self, little understanding in teaching methods, uneasy to practice of new teaching methods and little chances to participate in special music training courses for teachers. In conclusion, abov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music teaching method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내 뮤지컬학과의 개설현황 연구
- 유아교사의 음악수업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 연구
-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연주경험과의 관계
- 음악영재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 음악 수업 컨설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 국내 피아노페다고지 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주제 조사연구
- 신라의 예악(禮樂) 사상이 현대음악교육에 주는 교육적 의미
- 주제중심의 통합적 국악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민요 장단의 달고 맺는 구조에 관한 연구
- 음악(국악) 영재 판별을 위한 부모 관찰정보지의 문항개발 및 적용
- 외국의 초등학교 1,2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