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연주경험과의 관계
이용수 357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Experience among the Piano Major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진호(Jin Ho Choi) 정완규(Wan Kyu Ch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1호, 169~1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n=250)으로 연주불안 정도와 연주경험을 측정한 후,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보는 것이었다. 아울러 피아노 전공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연주불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해결책을 함께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 두 변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r=-.44,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많은 연주경험이 연주불안 정도를 낮추는 것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의 결과와 동일하게, 피아노 전공생들은 연습부족을 연주불안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지적했으며, 충분한 연습, 정신훈련, 그리고 많은 연주경험을 연주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해결책으로 지적해, 연주불안과 연주경험 간에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주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사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experience among piano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n=250), and to identify the perceiv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erformance anxiety and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performance anxie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experience among Korean piano majors (r=-44, p<.01).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the lack of enough practice and rehearsal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mpacting their performance anxiety and suggested that piano majors experiencing performance anxiety need to have enough practice time and performance experience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piano majors and professors in Korean universiti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내 뮤지컬학과의 개설현황 연구
- 유아교사의 음악수업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 연구
-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연주경험과의 관계
- 음악영재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 음악 수업 컨설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 국내 피아노페다고지 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주제 조사연구
- 신라의 예악(禮樂) 사상이 현대음악교육에 주는 교육적 의미
- 주제중심의 통합적 국악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민요 장단의 달고 맺는 구조에 관한 연구
- 음악(국악) 영재 판별을 위한 부모 관찰정보지의 문항개발 및 적용
- 외국의 초등학교 1,2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