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내 뮤지컬학과의 개설현황 연구
이용수 226
- 영문명
- A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Launching a Musical Theatre Major within Universit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에스더(Esther Rhee) 이정선(Jung Sun Lee)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1호, 219~2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공연예술의 종류와 장르는 매우 다양하다. 수많은 공연예술 분야 중에서 오늘날 대중으로부터 많은 관심과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이 뮤지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뮤지컬이 우리나라 대학 내에서 교과목 또는 전공분야로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났다. 현재 약 30여 대학 및 8개 대학원에 뮤지컬학과(전공)가 개설되어 있으며 그 숫자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창기 각 대학의 고유한 환경과 여건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신설된 뮤지컬학과는 많은 변화를 가지면서 현재의 학과 또는 전공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였다. 본 연구는 뮤지컬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가 우리나라 대학 내에서 시작 된 시점으로부터 현재 학과(전공)로 정착되어진 현황에 대해 연구하였다.
영문 초록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re divided into various fields. Today, the most popular field of performing arts would be musical theatre arts. It has been about 10 years since the musical theatre major has become a major field of study at universities in Korea. Currently, about 30 undergraduate programs and 8 graduate programs in Korea offer a musical theatre major, and the number is gradually increasing. During the initial development, the musical theatre major had been established in various forms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of each university, and they have evolved into current forms of departments after undergoing many changes. The beginning stages of the establishment of a musical theatre major in universiti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1) developed from theatre and film departments or developed as a branch of music departments and eventually formed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2) developed as one of internal majors within theatre, dance or music departments, and 3) established as an official music theatre department from the very beginning.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musical theatre major as a brand new field of study from the beginning of its existence to its settlement as an official department or a major at universities in Kore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내 뮤지컬학과의 개설현황 연구
- 유아교사의 음악수업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 연구
-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연주경험과의 관계
- 음악영재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 음악 수업 컨설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 국내 피아노페다고지 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주제 조사연구
- 신라의 예악(禮樂) 사상이 현대음악교육에 주는 교육적 의미
- 주제중심의 통합적 국악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민요 장단의 달고 맺는 구조에 관한 연구
- 음악(국악) 영재 판별을 위한 부모 관찰정보지의 문항개발 및 적용
- 외국의 초등학교 1,2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