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졸업자의 자기관리역량과 노동시장성과
이용수 231
- 영문명
- Self-management skill and labor market outcome of university graduates
- 발행기관
-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 저자명
- 송창용(Song Changyong) 손유미(Son Yumi) 송초의(Song Choeui)
- 간행물 정보
- 『핵심역량교육연구』제2권 제1호, 47~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0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졸업생의 자기관리역량에 따른 노동시장성과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자기관리역량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 교육적 접근으로 이루어진 반면, 본 논문은 실제 자기관리역량이 노동시장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취업자보다 미취업자들의 자기관리역량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미취업자의 경우, 부모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학생이 대다수이고, 이 학생들이 진학 또는 취업 준비를 위해 미취업자로 남아있을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임금근로자보다는 자영업자의 자기관리역량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자영업이 임금근로자의 영역보다 개인의 자기관리 역량이 더 필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셋째, 자기관리역량이 높을수록 임금이 높은 직장에 취업하고 있다. 즉 취업의 질이 더 좋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기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시기에서 진로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이 있을수록 낮은 임금을 받는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는 대상이 비정규직임을 감안한다면, 상향적인 진로목표를 가지고 있는 경우 현재의 상대적 저임금을 받는 현실을 자신의 보다 높은 상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견뎌내고 있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진로 구체성과 진로성숙도가 월평균 급여와 부적 관계를 갖고 있다는 점은 졸업생들의 진로목표가 단순히 임금보다는 직무의 질과 관련성이 높다고도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labor market outcomes according to self-management skill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KRIVET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10th data.
Most of studies on self-management skills have been studied through educational approach.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skill on the outcome of labor market by focusing on the linkage between education and labor marke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facts have founded. First, self-management skill of the unemployed is higher than that of the employed. In the case of the unemployed,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are economically affordable because their parents income is relatively high, and thes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main unemployed to prepare for further study or employment. Second, self-management skill of self-employed workers is higher than that of wage workers. This suggests that self-employment needs more self-management skill than wage worker s area. Third, with the higher self-management skill, employed at higher wages job.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employment gets better. Lastly, when entering the initial labor market with more specific plans on the future career gets low wages. As noted earlier, given that the relatively low wage earners are irregular workers, it can be inferred when having an upward career goal, the reality of receiving the current relative low wages is endured to achieve higher goals. The fact that career specificity and career maturity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an average monthly wage suggests that university graduates’career goals are more related to job quality than to wa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