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생의 K-CESA 핵심역량 분석

이용수  717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essential competency ofthe PRIME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배현주(Bae Hyunju) 백영은(Baek Youngeun)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2권 제1호, 125~14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RIME 대학생의 진로취창업 역량 진단도구로 사용한 K-CESA 결과를 PRIME 대학과 비PRIME 대학으로 비교하여 PRIME 대학생에 특별히 나타나는 차이를 확인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분석 자료는 PRIME 대학에서 진단한 K-CESA 핵심형 5개 영역의 진단결과로서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역량, 의사소통역량 등 5개 역량 영역 진단에 참여한 PRIME 대학생 2,960명과 비PRIME대학생 10,590명의 진단결과이다. 분석 결과,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과 글로벌역량에서 PRIME 대학과 비PRIME 대학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과 의사소통역량 2개 영역에서는 PRIME 대학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권역, 학년, 계열과 성별 변인을 통제하고 PRIME 대학 여부별 평균을 비교하였는데, 평균의 차이는 PRIME 대학 여부에 따라 유의하지 않았으며 권역, 학년, 계열과 성별에 기인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PRIME 대학 여부와 권역, 학년, 계열, 성별과의 상호작용 변인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PRIME 대학생의 역량 데이터는 PRIME 대학생의 진로개발 역량 진단도구를 모두 포함한 분석결과가 아니며, PRIME 사업 1차 연도 횡단 자료에 국한되었다는 점과 비PRIME 대학 데이터로 2016년도 K-CESA 전체 진단결과를 포함하지 않았다는 한계로 인하여 연구결과를 PRIME 대학 전체 진로개발 역량과 K-CESA 참여 대학생 전체 진단결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향후 PRIME 대학생의 종단연구와 함께 K-CESA를 활용하는 다른 대학재정지원사업의 결과와 비교분석할 경우 PRIME 사업을 포함한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성과 측정, 개선 방안 마련과 K-CESA 활용에 의미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K-CESA, which was used as a tool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PRIME(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 college students, with PRIME college and non-PRIME college. The analysis data are the results of the five competency areas of K-CESA such as self-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ource-information-technology utilization, global, and communication. It is the result of diagnosis of 2,960 PRIME college students and 10,590 non-PRIM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IME college and the non-PRIME college in the three competency areas such as self-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global, but it did not appea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ource-information-technology and communic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ntrol regional(counterparts in Seoul Metropolitan), grade, department, sex and interaction variables of 4 variables and PRIME, non-PRIME. The mean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depending on PRIME or not, and was found to be due to regional, grade, department, and sex. The interaction between PRIME college and region, grade, department, and sex was also influenced. However, due to the limit that the results of the whole three-par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est of PRIME college were not analyzed and the cross-sectional data collection limited to the first year of PRIME project data and not including full data of 2016 K-CESA,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whole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PRIME college or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whole K-CESA participating college student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other college financial support projects utilizing K-CESA and with the longitudinal study of PRIME, it is expected that meaningful data will be obtained in the measurement of the performance and the improvement of K-CESA and the college financial support projects.

목차

Ⅰ. 연구의 배경
Ⅱ. 선행연구 고찰
Ⅲ. K-CESA 결과 분석
Ⅳ. 연구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현주(Bae Hyunju),백영은(Baek Youngeun). (2017).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생의 K-CESA 핵심역량 분석. 핵심역량교육연구, 2 (1), 125-143

MLA

배현주(Bae Hyunju),백영은(Baek Youngeun).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생의 K-CESA 핵심역량 분석." 핵심역량교육연구, 2.1(2017): 125-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