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 방언의 어원 연구(1)
이용수 173
- 영문명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이근열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35권, 182~207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남방언권역인 부산 방언의 어원을 밝히는 것이 목적
이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단어는 ‘살찐이, 고빼, 두투, 모때, 적쇠, 석
쇠, 재첩, 무까끼하이, 찌짐’이었다. ‘살찐이’는 ‘삵+진(陳)+이’의 구조로 ‘삵
을 길들인 것’의 의미로 확인하였고, ‘고빼’의 경우 ‘고(庫)+배’가 아니라
‘고(고리처럼 맨 것)+배’의 구조로 ‘고를 걸어 끌고 가는 배’의 뜻으로 확인
하였다. ‘두투’는 상어의 머릿고기가 아니라 ‘두툽상어’ ‘개상어’의 분화와
관련하여 ‘두꺼비’를 의미하는 ‘두툽’의 변화형임을 밝혔다. 또한, ‘모때’의
경우, ‘모[方]+ㅅ+대’의 구조로 네모난 틀의 의미이며, ‘석쇠’는 ‘?何烏?로 ‘철
사로 가로 세로로 엮어 놓은 쇠’가 그 어원이며 ‘?品?이라는 어형 때문에 ‘설
쇠, 석쇠’가 나타났음을 밝혔다. 또, ‘재첩’은 원래 작다는 뜻의 ‘재치’에서
변한 낱말로 확인하였다. ‘무까끼하이’는 ‘무학’의 일본말인 ‘무가쿠’에다가
고유어 ‘-하게’의 뜻인 방언 ‘-하이’를 붙여 만든 말이며, ‘찌짐’은 일본어
‘지지미’에서 온 말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기
2. 방언 분화와 어원 의식
3. 부산 방언의 어원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