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이용수  340

영문명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용태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1권, 87~11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0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호국불교에 대한 연구사를 검토하고, 義僧軍 활동을 ‘忠義와 계율 의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승군 전통의 계승과 僧役의 관행화 문제를 살펴보았다. 의승군은 불교와 국가의 관계가 얼마나 밀착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비록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에 놓여있었지만 승 군의 전쟁 참여는 살상을 금지하는 계율을 어긴 명백한 범계 행위였다. 또한 당시 에 수행풍토의 약화와 승군 활동 후 환속하는 풍조를 낳기도 했다. 반면 나라를 구하기 위해 계율을 저버리기까지 한 의승군의 충의의 공적은 유교사회에서 평가 받았고 불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전란으로 승군의 활용가치가 입증됨에 따라 이후 南漢山城의 사례에서 보듯 이 승군 전통의 계승과 승역의 관행화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국가는 國役 체계 안에서 승려 노동력을 제도적으로 활용하였고, 그 대가로 승려의 자격과 활동이 용인되고 불교 존립의 토대가 다져졌다. 그렇지만 이는 출세간을 추구하는 불교의 고유한 지향을 전적으로 침해하는 것이기도 했다. 한국불교사에서 호국과 호법은 수레의 두 바퀴와 같이 호국=호법의 틀로 전개되어왔지만, 조선시대 의승군과 승 역은 호국에 중점이 두어진 특수한 사건이자 현상이었다. 이러한 ‘호국불교의 조 선적 발현’은 한편으로는 불교계의 과도한 부담과 국가권력으로의 종속이라는 부 정적 유산을 남기기도 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호국불교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Ⅲ. 임진왜란의 의승군 활동: 충의와 계율의 충돌
Ⅳ. 승군 전통의 계승과 승역의 관행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태. (2016).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동국사학, 61 , 87-119

MLA

김용태.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동국사학, 61.(2016): 87-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