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이용수 340
- 영문명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용태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61권, 87~11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호국불교에 대한 연구사를 검토하고, 義僧軍 활동을 ‘忠義와 계율
의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승군 전통의 계승과 僧役의 관행화
문제를 살펴보았다. 의승군은 불교와 국가의 관계가 얼마나 밀착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비록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에 놓여있었지만 승
군의 전쟁 참여는 살상을 금지하는 계율을 어긴 명백한 범계 행위였다. 또한 당시
에 수행풍토의 약화와 승군 활동 후 환속하는 풍조를 낳기도 했다. 반면 나라를
구하기 위해 계율을 저버리기까지 한 의승군의 충의의 공적은 유교사회에서 평가
받았고 불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전란으로 승군의 활용가치가 입증됨에 따라 이후 南漢山城의 사례에서 보듯
이 승군 전통의 계승과 승역의 관행화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국가는 國役 체계
안에서 승려 노동력을 제도적으로 활용하였고, 그 대가로 승려의 자격과 활동이
용인되고 불교 존립의 토대가 다져졌다. 그렇지만 이는 출세간을 추구하는 불교의
고유한 지향을 전적으로 침해하는 것이기도 했다. 한국불교사에서 호국과 호법은
수레의 두 바퀴와 같이 호국=호법의 틀로 전개되어왔지만, 조선시대 의승군과 승
역은 호국에 중점이 두어진 특수한 사건이자 현상이었다. 이러한 ‘호국불교의 조
선적 발현’은 한편으로는 불교계의 과도한 부담과 국가권력으로의 종속이라는 부
정적 유산을 남기기도 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호국불교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Ⅲ. 임진왜란의 의승군 활동: 충의와 계율의 충돌
Ⅳ. 승군 전통의 계승과 승역의 관행화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주지역의 사회주의운동과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 보성 개흥사지출토 소조상에 대한 고찰
- 耽羅神話에 보이는 女性性의 역사문화적 의미
- 19세기 미국 기계 엔지니어들의 “민주주의”
- 19세기 불교 外緣의 변화와 그 영향
-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 『승정원일기』의 인조-효종대 역사기상일지적 성격과 기상기록 특성 고찰
- 16세기 조선의 정치·사회와 불교계
- 新羅의 初期 外位體系와 ‘及伐尺’
- 朝鮮初期 佛敎界의 寶 運營과 그 意味
- 미국 모릴관세법 제정과 영국 및 남부인의 관세론
- 19세기 후반, 연행사와 청 문인의 교류양상 -李承五의 1887년 연행을 중심으로-
-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식민교육 정책의 성격
- 于愼行, 『?山筆?』 권18, 夷考 譯註
- 추수 金台榮의 현실인식과 민족운동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