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후반, 연행사와 청 문인의 교류양상 -李承五의 1887년 연행을 중심으로-

이용수  144

영문명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창수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1권, 277~31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0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개항기 한중관계사는 청의 정치적 간섭과 그것에 벗어나려는 조선의 움직임에 주목해 왔다. 이와 같은 연구는 기존의 한중관계의 갈등적 측면을 상세히 밝혀주 었지만, 전통적 관성에 관한 부분은 간과되었다. 조선과 청의 전통적 관계의 주요 부분은 儀禮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使臣 파견으로 유지되었으며, 이것은 1895년 청이 일본에 의해 패배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1887년 조선 정부는 청 황제가 親政을 한다는 詔書를 받았다. 이에 기존의 관행에 따라 축하 사절을 파견하기로 결정했고, 서울의 유력 가문 후손인 이승오가 正使로 선발되었다. 그런데 이승오가 연행을 떠난 시점은 조선이 러시아와 결 탁하려고 했다는 풍문으로 인해, 청의 조선에 대한 압박이 심각했던 때였다. 따라 서 정치적 상황 상 이승오의 연행은 긴장의 연속일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이승 오는 연행 내내 청 문인들과의 만남으로 분주했다. 그것도 연회를 수반한 詩會가 대부분이었다. 개항기 조선·청 관계에서는 정치적 상황과는 다른 영역이 존재했 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이승오의 교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교류의 대상을 한인 관료와 만인 관료로 구분해서 분석할 것이다. 아울러 역사의 연속적 인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 19세기 조선·청 문인교류의 흐름 속에서 이승오의 교 류가 가진 의미를 위치 짓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개항기 조선·청 관계에서 갈등의 국면과는 다른 부분을 드러내줌으로써 양국 관계의 전체적인 모습을 조망 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이승오의 생애와 연행의 배경
Ⅲ. 청 문인 관료와의 교류양상
1. 漢人 관료와의 교류
2. 滿人 관료와의 교류
Ⅳ. 19세기 사신의 교류와 확장
1. 사신의 문인교류 참여와 확대
2. 교류대상으로서 滿人의 등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수. (2016).19세기 후반, 연행사와 청 문인의 교류양상 -李承五의 1887년 연행을 중심으로-. 동국사학, 61 , 277-316

MLA

김창수. "19세기 후반, 연행사와 청 문인의 교류양상 -李承五의 1887년 연행을 중심으로-." 동국사학, 61.(2016): 277-3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