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세기 전반 李夏坤의 호남여행과 士族 緣網
이용수 138
- 영문명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李璟珣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53권, 275~31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0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선후기 사족사회에서 산수 유람은 대유행을 이루었다. 그런데 17세기 후반 이래 사족의 유람 기록에서 보이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遠遊, 즉 거주지에서 먼 거리의 지역에 대한 유람이 증가하였다는 점이다. 조선후기 원거리 여행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그것을 가능하게 한 배경과 조건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李夏坤의 南遊錄을 통해 원거리 여행의 양태와 그것을 가능하게 한 조건으로서 士族緣網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遠遊가 드물지 않게 된 배경에는 조선전기보다 사족들의 연망과 그 활용이 더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누대에 걸쳐 광역적 세력을 형성한 유력 사족일수록 원유가 수월했다. 이하곤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이하곤은 그 자신의 연망이 혼척관계와 학통을 매개로 湖西, 湖南지역에 뻗혀있었다. 호남은 중앙에서 활약하던 학자관료의 유배를 계기로 지역의 학풍을 일으켰던 사례가 많았던 관계로 중앙 사족과의 연계가 중시되었다. 더욱이 17세기 후반 이래 점차 중앙 관직 진출이 어려웠던 향촌사족의 입장에서 중앙의 사족과의 연결은 중요한 과제였다. 따라서 유력사족의 유람은, 향촌 사족의 입장에서는 권력과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여행을 적극 지원하고 위세를 나누는 입장에 서길 원했다.
조선후기 붕당정치의 심화는 서원 등의 지방 사족사회를 붕당적 성격으로 변모시켰다. 붕당의 지방화, 전국화는 유력사족의 연망이 전국적으로 확장되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이하곤의 예로서 본다면, 18세기이후 사족간의 교유와 연망의 성격과 범위는 당색의 한계 안에서 고착화되고 활력을 잃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李夏坤과 南遊錄
Ⅲ. 유람의 경로와 숙소
Ⅳ. 사족 緣網과 그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