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몽골 암각화의 인면 형상과 한국 양전동식 암각화의 중심 도상 비교 연구
이용수 70
- 영문명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장석호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53권, 353~39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0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우리나라 경상북도 일원에서 발견된 소위 ‘양전동식’ 암각화의 중심 도상을 가면으로 보고, 그 원류를 내몽골의 인면 형상에서 찾고자 한일부 연구자의 연구 결과에 불합리한 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우리나라 양전동식 암각화의 중심도상은 한국적 풍토에 기반을 둔 지역 문화의 소산임을 밝힌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내몽골에서 발견된 바위그림 유적지를 정리하고 또 제재와 양식, 유적지명 등을 검토하여, 그것이 북방 수렵?유목민의 바위그림과 같은 계통이자 소산임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내몽골 암각화 중의 인면 형상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조형성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우리나라 양전동식 암각화 속의 중심도상을 내몽골의 얼굴 형상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여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양자를 직접 비교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논하였다.
그 결과 내몽골의 인면 형상은 분명히 얼굴을 형상화한 것이지만, 우리나라 양전동식 암각화의 중심도상은 얼굴-마스크를 형상화 한 것이 아님을 파악하였으며, 그에 따라서 그간에 학계에 제기된 양전동식 암각화의 가면설과 내몽골 기원설의 모순점을 지적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오르도스 암각화의 세계
Ⅲ. 오르도스 암각화의 인면 형상과 양전동 암각화의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