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陶山園林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이용수  45

영문명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曹淑娟(김광년 譯)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5권,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1.0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퇴계 李滉(1501~1570)의 陶山근처의 이념적 자연 공간 배치를 도산 園林이라고 명명하고, 그것의 구조와 그 의미에 대하여 考究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는 도산이라는 공간 은, 선생이 건설하고 거주하면서 경험을 생산하고 나아가 가치와 의의를 체험해 낸 곳으로 禮安縣郊外에 있는 자연 山野를 지칭하 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선생은 일생 동안 山水를 애호한 동시에 忠君愛國의 생각을 품 고, 朝野양 끝을 오가면서 살았다. 그는 1546년에 養眞小庵을 세 웠다. 몇 년후 또 집 서쪽 개울 옆에 寒栖庵을 짓고 靜習堂을 두 어 독서실로 삼았다. 선생 57세에 도산 남쪽에 터를 정하여 陶山 書堂을 만들고, 堂과 舍의 두 계열의 여러 건물을 만들고 근처의 여러 자연물과 건축물에 대하여 직접 命名하고 살았다. 이곳에서 그는 조악한 옷을 입고 담백한 음식을 들며, 思考하고 敎育하고 자연을 觀察하며 지냈다. 그는 이곳에서 程子와 朱子그리고 陶淵 明과 舜임 금을 그리워하며 그들의 모습을 상상하며 지냈다. 이곳에서 그는 爲學之道와 隱退之志및 人物之性을 연구하고, 자연과 合一을 이루며 悠悠自適하였다. 다른 말로 하면 그는 이곳 에서 審美情趣人事省顧生生之機를 잘 연구하고 이를 즐겼으니, 園林을 이념적으로 構築하고 그 곳에서 잘 노니는 자라면 응당 이 와 같을 것이다. 이와 같은 李滉의 陶山園林은 歷史的空間이 되어 정조, 명종 등에 의하여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되고, 그의 後學과 그를 思慕 하는 지역의 선비들에게 하나의 이념 내지 求心點이 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1. 序論
2. 陶山園林의 空間構造
3. 陶山園居의 意味說明
4. 理世界의 人間投影
5. 歷史文化的空間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曹淑娟(김광년 譯). (2009).陶山園林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퇴계학논집, 5 , 1-38

MLA

曹淑娟(김광년 譯). "陶山園林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퇴계학논집, 5.(2009):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