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退溪學과 藤原惺窩의 儒學

이용수  61

영문명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사토 고에츠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5권, 1~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1.0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惺窩의 퇴계학에 대한 시각에 대하여 직접 이것을 천명할 수 있 는 자료는 보이지 않는다. 확실히 惺窩가 애독하였던 延平答問 은 퇴계가 跋을 붙인 朝鮮本이었다는 것, 또 天命圖說을 읽었 다고 하는 阿部吉雄氏의 견해는 惺窩先生文集등의 자료를 보더 라도 수긍된다. 그러나 한 발짝 나아가 惺窩가 退溪學에서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더 말해보자면, 惺窩晩年의 저작으로 말해지는, 따라서 그의 사 상적 도달점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되는 大學要略(別名逐鹿 評, 이때의 ‘鹿’은 儒敎)에는 주자의 大學章句보다도 三敎一致 에 입각한 明의 林兆恩(生沒年未詳, 三敎先生이라고도 한다)의 四 書標摘正義가 인용되어 있다. 이 점은 이미 太田兵三郞이 藤 原惺窩의 人物과 學芸에서 지적된 것이지만, 보다 상세하게 논한 것은 金谷治藤原惺窩의 儒學思想이었다. 金谷治는 아직 지적하 고 있지 않지만 惺窩이후 일본의 儒者들이 궁극적 실재를 어디에 서 찾고자 하였는가 하는 문제, 이른바 儒·佛·神(神道) 사이의 習 合問題가 근저에 놓여져 있다. 아주 소수의 학자를 제외하고 에 도시대의 유학자들은 그 사상적 핵심부분에 이 습합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서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는 볼 수 없다고 할지라도, 고려 말부터 조선초기에 儒佛一致論으로 異彩를 발한 高僧己和(1376~ 1422) 등과 에도 초기의 惺窩나 羅山등과의 비교연구의 여지도 남겨져 있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日本朱子學의 背景
2. 退溪學派와 藤原惺窩
3. 惺窩儒學思想의 특색(要訣)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사토 고에츠. (2009).退溪學과 藤原惺窩의 儒學. 퇴계학논집, 5 , 1-9

MLA

사토 고에츠. "退溪學과 藤原惺窩의 儒學." 퇴계학논집, 5.(2009): 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