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oing Philosophy와 대화 - 슐라이어마허를 중심으로 -
이용수 97
- 영문명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저자명
- 최신한
- 간행물 정보
- 『철학논집』제44호, 183~20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슐라이어마허를 중심으로 doing philosophy와 대화의 연관을 다
룬다. 철학함은 철학실천이며 철학실천은 언어적 실천이라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대
화의 철학적 근거와 의미를 밝힌다. 대화수행이 곧 철학함이라는 사실은 표상의 상
이성이 대화를 통해 동일한 사고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동일한 사고에서
논쟁이 종식되며 진리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대화를 주도하는 사고를 예술적 사고,
업무적 사고, 순수사고로 구별하고, 각각의 목표를 대화참여자의 만족, 행위목적달
성, 객관적 지식으로 규정한다. 삶을 구성하는 이 세 가지 사고는 항상 언어와 결
합되어 있다. 철학실천으로서의 대화는 서로에게 거는 말, 곧 상호전달이다. 상호전
달은 내밀한 것과 고유한 것의 공유로서 인간관계를 형식적 관계에서 친밀한 관계
로 이끌어준다. 진정한 상호전달은 상대방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지배나 설득이 아
닌 절제된 전달이다. 절제된 전달로서의 대화는 서로간의 공감으로 이어지며, 공감
은 유대를 만들어내면서 마음의 치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철학상담의 과제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고유한 문제에 친밀하게 접근함으로써 내담자 스스로 자기인식
에 도달하게 하는 데 있다. 내담자의 자기인식은 사실 상담자와 내담자의 동일한
사고이다. 그러므로 철학상담도 철함함과 대화의 연관 속에서 이루어진다.
영문 초록
목차
I. 철학함, 철학실천, 대화
II. 대화를 주도하는 세 가지 유형의 사고
III. 대화와 상호전달
IV. 대화와 치유
V.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활동과 즐거움 -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 이론 -
- 불교적 행복 - 비판적 이해와 현대적 재구성을 위한 시론 -
-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세 가지 실존
- 칸트 윤리설에 대한 정신분석적 해석과 그 문제 - 주판치치의 『실재의 윤리』를 중심으로 -
- Doing Philosophy와 대화 - 슐라이어마허를 중심으로 -
- 송대 역학과 율도량형론(律度量衡論)의 맞물림 - 채원정의 『율려신서』를 중심으로 -
- 긍정심리학의 행복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현대사상으로서 바로크 - 벤야민과 들뢰즈의 경우 -
- 인간의 조건과 행복 - 아렌트와 하버마스를 통한 행복의 구조 이해 -
- 인도철학에서의 고통과 불행 개념 - 『마하바라따』의 ‘아르주나의 딜레마’와 비극적 모럴리티 -
- 왕수인(王守仁)과 대진(戴震)의 중화론(中和論) 비교 연구 - 양자의 내적 차이와 외적 공통점에 관한 사상사적 고찰 -
- 칸트에서 행복의 의미
- 조선 성리학 안에서 인간 아니마(anima humana)의 자립적(per se subsistens) 의미 충돌 - 신후담의 『서학변』에서 魂과 心을 중심으로 -
- 『도덕경』에 있어서 지각의 지위에 관한 연구
- 칸트와 헤겔의 철학에서 사랑과 존경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비극의 탄생』에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문제 - ‘형이상학적 위안’의 역설과 디오니소스-아폴로의 관계를 중심으로
- 니체의 여성적 사랑과 위대한 정치
- 니체는 니체와 화해할 수 있는가? - 니체의 관점주의가 당면한 문제들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