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의 이제설(二諦說)

이용수  147

영문명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저자명
하유진
간행물 정보
『철학논집』제16호, 115~13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1.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에서 속제(俗諦)란 상대적이며 언어로 표현된 세 속적인 진리를 가리키며, 진제(眞諦)란 언어로 표현될 수 없는 궁극적이고 절대적인 진리의 영역을 가리킨다. 이제설이 본격적 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대승(大乘)의 반야계(般若系) 경전이 출현하면서부터이며, 부파(部派)불교의 단계를 거쳐 중관(中觀) 사상을 통해 그 사상적 내용이 심화되었다. 진제는 진리로서의 공(空) 그 자체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속제에 대한 수승(殊勝)한 진리 개념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불교가 중국에 도입되던 초기 에 반야계 경전과 중관사상이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제에 관한 논의 역시 당시 유행하던 유무(有無)개념과 맞물리면서 활발히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인도불교의 이제설에 대해 알아 본 다음, 중국불교 초기의 대표적 불교학자들인 승조(僧肇)와 도 생(道生)의 이제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전통적 반야계열 학자인 도생과 신진 중관학자인 승조의 사상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 하여 알아본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이제설의 연원
Ⅱ. 인도불교의 이제설
Ⅲ. 중국 초기불교의 이제이론의 형성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유진. (2008).불교의 이제설(二諦說). 철학논집, 0 (16), 115-137

MLA

하유진. "불교의 이제설(二諦說)." 철학논집, 0.16(2008): 115-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