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명상의 효과 비교
이용수 1,28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명상학회
- 저자명
- 김덕연 이봉건
- 간행물 정보
- 『한국명상학회지』제2권 제1호, 21~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감소에 대한 마음챙김(MBSR)명상과 인지행동치료(CBT)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마음챙김명상집단, 인지행동치료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의 3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마음챙김명상과 인지행동치료는 각각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주 2회씩 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시험불안 검사(TAI-K)와 자의식 척도(SCS)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처치 전후에 걸친 시험불안의 전체점수의 김소 효과는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시험불안 척도의 하위척도인 시험불안 요인에서는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 하지 않았다. 둘째, 자의식의 전체점수에서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음챙김명상과 인지행동치료는 통제집단에 비해서 시험불안의 총점과 인지적 요인에서 의미있는 감소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또한 정서적 요인에서는 마음챙김명상이 인지행동치료에 비해서 감소 효과가 더 의미있게 컸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