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무용학습이 평형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임명제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16권 제2호, 101~10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무용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하여 사상과 감정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써 창조된 것이 아니라 창조하려는 것의 과정을 창의적으로 신체적 특성을 다루는 가장 인간적인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무용은 영상에 의해 미적가치를 표현하는 예술적 행위로써 정신과 육체가 조화되는 움직임을 의미한다(김명숙, 1995). 영상은 단순한 감각의 투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합성작용, 비교작용, 증폭작용, 압축작용 등에 의하여 인간의 창조적 활동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무용에 있어서 평형기능은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며, 일상생활에서 자세변화로 인한 신체의 무게중심이 이동하였을 때 자세의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고영규, 1992; 박상범, 1998).
이러한 자세의 조절에는 시각, 고유수용체 등과 함께 양측 내이 부분에 위치한 전정기관이 관여하고 있다. 이 중 시각은 전방의 물체를 주시하므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시운동성 안구운동(optokinetic nystagmus)에 의한 반사적인 자세의 조절에 관여한다. 고유수용체는 각 관절에 존재하는 미소근육으로 상부경추의 척추간 근육(intervertebral muscles)이 대표적이며 긴장성 경반사(tonic neck reflex), 경안구반사(cervico-ocular reflex) 등을 초래한다. 그리고 전정기관은 측두골의 주체부에 위치하며 시각, 고유수용체 등과 함께 반사적인 자세나 운동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Magnus, 1994; Wilson & Peterson, 1996).
그러므로 개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조절작용, 즉 체성신경계를 통하거나 자율신경계를 통한 조절작용은 근본적으로 feedback control system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반사적인 자세의 조절작용은 feedback control system에 의해서는 유지될 수 없으며, feedforward control system이 작용하여 미리 예측할 수 있어야만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정기관은 소뇌와 더불어 feedforward control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부위이다(Schmidt, 1985; Smith & Bowen, 1990).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게임형 자전거 운동의 운동강도 형성 및 대사적 피로수준에 대한 연구
- 초등학생의 무용학습이 평형기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참여 목표내용척도의 타당화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건강 교육의 방향
- 방과후 스포츠활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감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행동이 초등학생의 상황적 동기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에서 나타난 민속놀이 특성
- 발레 연습이 초등학생의 신체 변화와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실시간 영상정보 피드백을 제공한 수업 사례연구
- 초등 체육수업에서 안전사고 발생원인 분석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가 학교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 트레이닝의 형태차이가 비만아동의 면역글로불린, 성장호르몬 및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체육특기적성교육활동 참여와 신체운동지능 및 자아성취감의 관계
- 건강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교육대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 변천에 따른 전통놀이 고찰
- 하나로 수업 모형을 적용한 창작무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체조수업 상태불안과 성취목표성향이 체육수업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 체육교과의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논의
- 신체활동증진시스템(PAPS)이 초등학생의 스포츠관여도,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책임감 모형(TPSR)과 스포츠교육 모형의 통합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작은 세상’에서 한국어로 살기: 메타버스 세종학당 학습자의 체험 연구
- 저소득층 청소년의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와 과제: 진로개발 역량 강화와 사회자본 확대 차원에서
- 여자대학 신입생의 정서적응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