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좋은 학교’의 특성이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
이용수 121
- 영문명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달효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6권 제3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학교는 학원 같은 사교육 기관이 아닌 사회를 대표하는 공교육 기관인 만큼, 우리 사회가 학교에 기대하고 요구해야 하는 것은 ‘좋은 학교’의 특성임을 깨달아야 한다. 하지만 많은 시 도 교육청은 학교평가 척도로서 학교가 실적과 성과를 얼마나 많이 올렸는가를 측정하고 있다. 이 같은 학교평가 체계가 과연 옳은 것인지 의문을 제기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좋은 학교’의 특성을 근거로 하여 현행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밝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외의 '좋은 학교‘에 관한 문헌들을 분석의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학교’의 특성을 네 가지 차원으로 규명하였다. 즉 행정적 차원으로는 교사의 수업 전념을 위한 잡무 경감, 행사 축소, 교육복지가 포함되고, 교육적 차원으로는 공동체의식, 시민의식, 민주교육이 포함되며, 관계적 차원으로는 상호협동, 상호존중, 긍정적 기대가 포함되고, 가치적 차원으로는 자율성, 창의성, 다양성이 포함됨을 규명하였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현행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평가 지향성, 평가 척도, 평가 방법 및 활용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좋은 학교’의 특성
Ⅲ. ‘좋은 학교’의 특성이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첩 및 스마트폰 연계교수를 통한 직업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출판보조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좋은 학교’의 특성이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
-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 인식비교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초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에 대한 신뢰 형성의 근거와 결과
- 유아 수학활동에서 역동적 평가 결과의 활용방안 연구: 개별유아 사례들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교육경비지원 현황과 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A Discussion on the Oakeshott’s Political View of Intimation
- 점토매체 중심 미술치료 동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지속적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수업컨설팅 모형 탐색
- 유치원아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축에 대한 태도 연구
- 유아교사교육의 인문학적 접근: 유아교사의 인문학 세미나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 보드게임 놀이 대집단 활동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Systems Design on a Team Learning Process Model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사례연구: 난민문제 수업을 중심으로
- 윌리엄스 증후군의 특성 및 중재 전략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내 영어교육 연구동향: LDA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다움의 무게를 견디며 : 신규교사의 감정소진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전문상담교사의 학부모·학생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