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ystems Design on a Team Learning Process Model
이용수 18
- 영문명
- Systems Design on a Team Learning Process Mode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Park Su-Hong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6권 제3호, 131~14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eam is a microcosm of organization. in turn,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naturally requires how
to manage team learning.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pply systems design on building a
team learning process model. Method: In order to design the model, the research utilized the spiral
system-design methodology, a revised version of Banathy’s systems-design process, which includes the major
stages of developing a knowledge base, preparation, analysis, design,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However,
the implementation stage was not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Experts' reviews on the initial team learning
process model, were arrange into 'strengths' and 'improvements'. Based upon experts' reviews, the research
provided a revised team learning process model in terms of input process, transformation process, output process,
guidance process. Conclusion: Through the spiral system design method, the research created an ideal process
centered team learning model. Based upon the outcome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agenda would be develop how to effectively facilitate team learning proces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Result
Ⅴ.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첩 및 스마트폰 연계교수를 통한 직업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출판보조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좋은 학교’의 특성이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
-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 인식비교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초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에 대한 신뢰 형성의 근거와 결과
- 유아 수학활동에서 역동적 평가 결과의 활용방안 연구: 개별유아 사례들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교육경비지원 현황과 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A Discussion on the Oakeshott’s Political View of Intimation
- 점토매체 중심 미술치료 동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지속적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수업컨설팅 모형 탐색
- 유치원아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축에 대한 태도 연구
- 유아교사교육의 인문학적 접근: 유아교사의 인문학 세미나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 보드게임 놀이 대집단 활동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Systems Design on a Team Learning Process Model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사례연구: 난민문제 수업을 중심으로
- 윌리엄스 증후군의 특성 및 중재 전략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내 영어교육 연구동향: LDA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다움의 무게를 견디며 : 신규교사의 감정소진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전문상담교사의 학부모·학생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