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에 대한 통합적 접근의 회복을 위한 일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유현옥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48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교수에 대한 지배적 이해는 교수를 일련의 기술적 행위로서 이해하고 있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교수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교수를 관리 중심의 공장모델에 기초하여 주로 도구적 관점에서 그
성과를 판단하고 이해하는 견해이다.본 논문에서는 교수에 대한 이러한 기술적 접근이 지니는 문제
점을 지적하고,이를 바탕으로 교수 및 교육의 도덕적 측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규범적 접근을 포함
하는 보다 통합적 관점의 확립 필요성과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교수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확립을 위해 본 연구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교수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논의는 그 초점이 ‘교수 행위 자체가 지니는 가치의 일차성’,그리고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지니는 도
덕적 측면 및 교사의 윤리적 책임’등에 있다.또한 여기서 말하는 교사의 윤리적 책임이란 개별 학생
에 대한 관심과 사랑에 기초한 도덕적 관계 형성 및 그 관계를 통한 학생의 지적·도덕적 발달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책임과 헌신에 관련된 측면을 말한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교사들의 도덕적 헌신의 결여 및 교
육의 결과에 대한 책임회피’,‘교수의 질적 저하’등의 문제를 포함하여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문제가
제기 되고 있으며,이로 인해 교육개혁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그러나 현재 우리의 교육
개혁 노력은 그 관심이 주로 교수 및 학교교육의 성과에 기초한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음으로
인해서 교수에 대한 기술적·도구적 관점을 강화시키고 있는 한편,교수 및 학교교육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오히려 약화시키고 있다.본 논의가 우리 사회의 교육개혁 노력에 주는 시사점은
교수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관심과 논의를 포함하는 통합적 접근의 회복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학교
교육에 대한 불신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교육개혁 노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그를 통
해 진정한 교육경쟁력 강화가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I.Introduction
II.Theproblem oftechnicalexcessesinteaching: Isolating moralconcernsfrom teaching
III.Theprimacyofmoraldimensioninteaching: Retrieving moralconcernsinteaching
IV.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