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親社會的 行動의 育成方法

이용수  3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金誠一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29권 제4호, 224~236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1.01.0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협동, 봉사, 협조와 같은 친사회적 행동은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하는 경향이 있다. 아동의 인지구조가 발달함에 따라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사회중심적 사고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생물학적 요인, 문화, 개인적 특성, 사회화 경험 및 상황적 조건이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회화 경험이 그 중에서 가장 큰 결정요인으로 보인다. 부모가 자녀에게 무엇을 금지하기 보다는 허용하고, 책임을 부여하는 교육방식이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시킨다. 부모가 행동의 모범을 보이는 것도 자녀에게 통일한 행동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모델은 수용적이고, 아동을 배려하는 태도를 보여야 하며,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만 큰 영향이 있다. 친사회적 행동은 학습된 것이므로 强化에 의해 촉진되며 강화는 집단 전체로 이루어져야 더 효과적이다. 개별 적인 강화는 협동보다는 경쟁을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한 役割試演도 친사회적 행동의 수행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교사는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육성하기 위하여 첫째, 그와 같은 행동을 격려하는 분위치를 조성해야 한다. 집단간의 지지, 솔직한 의견 교환, 적극적인 관심과 배려, 결과에 대한 집단 검토 등이 이와 같은 분위기 조성에 필요한 것들이다. 둘째, 교사 자신이 친사회적 행동을 솔선 수범해야 한다. 셋째, 분명한 기대와 한계 설정, 타인들 돕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영향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능력에 알맞는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인식을 갖게해야 한다. 다섯째,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집단토의 기회를 부여한다. 여섯째, 학생들이 관찰하고 토의한 행동을 실연해보게 한다. 일곱째, 친사회적 행동을 보일 때마다 칭찬이나 격려와 같은 강화를 준다. 사회혼란과 청소년 문제가 증대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육성은 인간 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긴요한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The Definition of Prosocial Behavior
The Developmental Trend of Prosocial
Determinants of Prosocial Behavior
Practices that Foster Prosocial Behavior
Conclusions
References
國文抄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誠一. (1991).親社會的 行動의 育成方法. 교육학연구, 29 (4), 224-236

MLA

金誠一. "親社會的 行動의 育成方法." 교육학연구, 29.4(1991): 224-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