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차 베이비붐세대, 2차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간 일 가치관, 여가태도 및 은퇴준비행동 비교
이용수 54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김희정 천혜정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14권 제3호, 17~4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차 베이비붐 세대, 2차 베이비붐 세대, 그리고 에코세대는 동 시대를 함께 살아
가고 있는 집단이면서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 집단이다. 그러나 세대간 비교연구
는 극히 부족할 뿐 아니라 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가계경제구조, 자산 구성 및
투자 성향, 소득 및 소비생활 특성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 베이비붐
세대, 2차 베이비붐 세대, 그리고 에코세대를 모두 포함하여 이들의 일 가치관,
여가태도 및 은퇴준비행동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차 베이비붐 세대
97명, 2차 베이비붐 세대 99명, 에코세대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
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일에 대한 내재적, 외재적 가치를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에코세
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여가에 대한 일반적 지식과 신념이 더 긍정적이었다. 셋
째, 세 집단간 은퇴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1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준비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세대의 은퇴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세대에서
공통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변수는 행동적 여가태도인 반면, 이 두 변인 외에
도 2차 베이비붐 세대는 월평균소득과 결혼여부가, 에코세대는 성별과 인지적 여
가태도가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를 바탕으로 세대별로 일, 여가, 은퇴 등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문제제기
II.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