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의 여가생활패턴과 삶의 만족도
이용수 98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민경선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14권 제3호, 57~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여가생활을 패턴화 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어떠한
여가생활패턴이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한국인의 여가생활패턴은 휴식 및 교제 활동형, 인터넷 활용 및 스포
츠 관련 활동형, 미디어 활용형, 그리고 소일형 및 비활동적 여가생활의 네 가지
로 구분되었다. 삶의 만족도에는 휴식 및 교제 활동형과 비교했을 때 인터넷 활
용 및 스포츠 관련 활동형과 미디어 활용형의 여가생활패턴이 긍정적 영향을, 소
일형 및 비활동적 여가생활형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
다. 또한 교육수준, 소득수준, 직업, 그리고 연령 등이 여가생활패턴의 예측요인으
로 분석되었다. 높은 사회적 위계와 낮은 연령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여가생활패턴과 비교적 밀접한 관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주말과 평일의 여가생활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여가생활패턴이 삶의 만족도에 미
치는 차별적 영향의 요인이 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는 여가연구에서 평일과
주말의 여가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동시에 이들이 나타내는 차이를 세심하게 포착
해야 할 필요를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여가와 주관적 만족감의 관계를 다루는
향후 연구에서는 여가의 내용, 여가 향유자의 사회계급적, 사회인구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여가에 참여한 요일의 구분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