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论韓中古代卵生神话 : -以两国几则始祖神话为主

이용수  8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金孝真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22호, 1~1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0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 양국 난생신화의 비교를 통하여 그 異同을 논하였다. 양국 모두 东夷 및 殷商계열의 신화에 속하므로, 그 줄거리나 토템과의 관계 및 정치색채 등 여러 방면에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점도 또한 적지 않다. 한국의 난생 신화는 중국보다 내용적인 면에서 풍부하고, 여러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난생의 방식이나 부계 혹은 모계와의 관계가 다르고, 동물적인 요소가 훨씬 더 가미 되어 있으며, 신령적인 요소 또한 비교적 많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 서술 언어 면에서도 중국신화와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본 문은 7개의 신화를 예로 들어, 난생으로 정통성을 부여 받아 시조가 되거나 건국 영웅이 된 이야기, 신화에 출현하는 동물의 역할, 이와 같은 신화들의 정치적 의의 등 세 방면에서 같은 점을 논하였고, 마지막으로 양국 난생신화의 다른 점을 살펴보았다. 요컨대, 한국의 난생신화가 비록 중국 신화와 유사한 점을 가지고는 있지만, 중국신화와는 다른 특색을 지니고 있으며, 이것은 우리가 우리 신화가 가지고 있는 의의와 그것을 창조하고 전승 시켰던 선민들의 의식세계를 이해하는데 많은 참고 가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고는 토론의 범위를 대체로 한중양국의 몇몇 시조신화에만 국한시키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대표성은 띠지만, 난생신화라는 범주로 볼 때 토론범위가 다소 협소한 점은 향후 연구를 통하여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영문 초록

목차

壹 、前言
贰 、韓中卵生神话的相同之處
叁 、韓中卵生神话的不同之處
肆 、结语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孝真,. (2006).论韓中古代卵生神话 : -以两国几则始祖神话为主. 중국학논총, (22), 1-10

MLA

金孝真,. "论韓中古代卵生神话 : -以两国几则始祖神话为主." 중국학논총, .22(2006): 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