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论韓中古代卵生神话 : -以两国几则始祖神话为主
이용수 8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金孝真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22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1.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 양국 난생신화의 비교를 통하여 그 異同을 논하였다. 양국 모두 东夷 및 殷商계열의 신화에 속하므로, 그 줄거리나 토템과의 관계 및 정치색채 등 여러 방면에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점도 또한 적지 않다. 한국의 난생 신화는 중국보다 내용적인 면에서 풍부하고, 여러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난생의 방식이나 부계 혹은 모계와의 관계가 다르고, 동물적인 요소가 훨씬 더 가미 되어 있으며, 신령적인 요소 또한 비교적 많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 서술 언어 면에서도 중국신화와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본 문은 7개의 신화를 예로 들어, 난생으로 정통성을 부여 받아 시조가 되거나 건국 영웅이 된 이야기, 신화에 출현하는 동물의 역할, 이와 같은 신화들의 정치적 의의 등 세 방면에서 같은 점을 논하였고, 마지막으로 양국 난생신화의 다른 점을 살펴보았다.
요컨대, 한국의 난생신화가 비록 중국 신화와 유사한 점을 가지고는 있지만, 중국신화와는 다른 특색을 지니고 있으며, 이것은 우리가 우리 신화가 가지고 있는 의의와 그것을 창조하고 전승 시켰던 선민들의 의식세계를 이해하는데 많은 참고 가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고는 토론의 범위를 대체로 한중양국의 몇몇 시조신화에만 국한시키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대표성은 띠지만, 난생신화라는 범주로 볼 때 토론범위가 다소 협소한 점은 향후 연구를 통하여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영문 초록
목차
壹 、前言
贰 、韓中卵生神话的相同之處
叁 、韓中卵生神话的不同之處
肆 、结语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5,4 新文化運動期에 있어서 ‘国故整理’의 문제에 관한 검토 : 胡適을 中心으로
- 중국-홍콩 CEPA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 법적 이중성을 중심으로
- 论韓中古代卵生神话 : -以两国几则始祖神话为主
- 明淸交替期中韓關係之變化與小中華論
- 중국 유동아동 의무교육의 현황과 정책 : 도시 농민공자녀의 의무교육을 중심으로
- 중국 투자환경의 변화와 시사점 : 내몽고 후허하오터를 중심으로
- 빈곤정책으로서의 중국의 扶貧開發事業 분석
- 조사 ‘了’의 용법 연구
- CEPA와 홍콩경제의 변화에 대한 고찰
- 중국 재정정책의 변화가 경제에 미친 영향 : 財政包干制 시행을 중심으로
- 中日戰爭 직전기 中日經濟提携論
- 論南龍翼對杜甫詩歌的吸收
- 중국 위안화 평가절상의 원인과 파급영향
- 元이후 《蒙古字韻》·《古今韻會擧要》의 韓·中 音韻學的 價値硏究
- 私營企業主階層의 發展과 社會的 影向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