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EPA와 홍콩경제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이용수  10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林承權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22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0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1년 12월 11일 중국은 정식으로 WTO에 가입하면서 143 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중국은 15년간의 노력 끝에 결국 WTO의 문을 들어 선 것이다. 중국은 WTO 가입과정에 매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미국과 진행된 10여 년 간의 어려운 담판을 “먹구름도 뒤쪽은 빛난다.”라고 표현할 정도였다. 대단한 인내심으로 협의를 계속했던 모양이다. 그런데, WTO는 모든 회원국이 필수적으로 상대적으로 대등한 무역조건하에서 , 예견 가능한 그리고 끊임없는 시장의 진입을 확대하며, 공평한 경쟁을 촉진하고, 발전과 개혁을 지지한다는 기본적인 네 가지 원칙에 의하여 진행된다. 이런 중국이 홍콩특별행정구(이하 홍콩)과 자유무역협정, 이른바 CEPA를 서둘러서 체결하였다. CEPA는 실질적으로는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이지만, 공식적으로는 FTA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FTA는 일반적으로 국가 간에 사용되는 용어로서 홍콩과 중국은 1국가 2 체제로서 국가 간의 관계가 아니라는 점, 중국이 추구하는 중국-홍콩-마카우-대만을 모두 통합한 경제공동체 설립을 목표로 함에 있어 일련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CEPA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CEPA의 배경과 협약
3. 홍콩경제의 구조전환과 CEPA 협약의 전략적 의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林承權. (2006).CEPA와 홍콩경제의 변화에 대한 고찰. 중국학논총, (22), 1-16

MLA

林承權. "CEPA와 홍콩경제의 변화에 대한 고찰." 중국학논총, .22(2006):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