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元이후 《蒙古字韻》·《古今韻會擧要》의 韓·中 音韻學的 價値硏究

이용수  2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王玉枝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22호, 1~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0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異民族이 다스린 元代의 社會環境은 韻書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일으켜, 國家考試功令 또는 文人들이 고집하는 전통운서인 《廣韻》·《韻鏡》 등 中古音系에서 벗어나 現代 普通話와 보통화 전 단계의 漢語語音體系로 다루어진 운서가 출현할 수 있었다. 《蒙古字韻》과 《古今韻會擧要》는 「古今南北의 音」을 두루 살피고, 實際讀音에 대한 審音作業을 한 「不南不北」의 성격을 띤 운서로, 革新的인 語音體系와 獨創的인 編纂方式 등을 두루 갖추고 있어 近代官話語音體系의 완성을 이룬 結晶體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높은 가치를 지닌다. 특히, 《蒙韻》(이하 《蒙古字韻》의 간칭으로 사용)은 拼音文字인 파스파자(八思巴字)로 漢字의 字音을 나타내고 있으며, 中國韻書 中 유일하게 傳統韻書上의 韻의 개념이 아닌 聲調를 介音·韻腹·韻尾로부터 분리시키고, 介音·韻腹·韻尾를 구별하여 現代語音學의 韻母의 개념을 갖추고 있어, 그 가치는 《韻會》(이하 《古今韻會擧要》의 간칭으로 사용)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價値란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明代 《洪武正韻》의 출현배경과 兩 韻書의 位置
‘Ⅲ. 양 韻書의 韓國에서의 位置
‘Ⅳ. 양 韻書에 대한 韓·中 양국의 입장차이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王玉枝. (2006).元이후 《蒙古字韻》·《古今韻會擧要》의 韓·中 音韻學的 價値硏究. 중국학논총, (22), 1-15

MLA

王玉枝. "元이후 《蒙古字韻》·《古今韻會擧要》의 韓·中 音韻學的 價値硏究." 중국학논총, .22(2006): 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