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등 영화 교육의 목표와 성격
이용수 2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서인숙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2호, 19~22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이 21세기에 입시 위주의 억압적인 교육에서 벗어난 새로운 패러다임을 갖기 위해서는 교육 수용자의 욕구를 반영하고 충족시키는 열린교육이 되어야 한다.(입시 교육의 폐단에 대해)
교육 수용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자기 표현이 요구되는 문화예술교육은 지식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한 감성적이며 정서적인 교육으로 인성과 품성을 가꾸어 주고 채워주는 열린교육의 가능성을 품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야 말로 입시 교육과 맞물려 있는 학벌지상주의에 대해 비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와 관점을 학생들에게 심어줄 수 있는 대안 교육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이제는 음악과 미술만이 교육되는 획일적인 예술교육에서 벗어나야 하는 시대적 요청을 학생들의 다양한 개성 표출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개인의 다양성과 개성적 삶을 중시하는 포스트 모던 시대에 음악과 미술만으로는 학생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영문 초록
목차
1. 영화 교육의 목표
2. 영화 교육의 성격
3. 영화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용예술 교육으로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가능성
-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현황과 대안미술교육운동 소개
- 미술치료의 이해
- 초․중등 영화 교육의 목표와 성격
- 무용/동작치료의 이해와 현황 및 효과
- 생활 속의 미술 : 미술인 되기
- 통합적 교양 과목 개발을 위한 창의적 예술 교육의 쓰임새 : “몸으로 배우는” 체험학습 교양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기초․광역센터의 역할정립과 정책과제
- 학교정책에서 학교문화예술교육 전망과 과제
- 음악 활동에서의 동기화에 관한 이론적 조망
- 예술통합 교육의 실제 : 중학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과 서양의 음악 후원제도 비교연구
- 노인연극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탄생한 극단「언제나 청춘」
- 새로운 문화적 패러다임과 창의성 교육을 위한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역할
- 독일 영화교육의 현황
- 예술교과로서의 무용교육
- 만화․애니메이션교육 전문강사풀제 운영방안
- 문화(예술)교육의 진화 방향
- 평생교육시스템과 문화예술교육의 연계 방안
- 영화 강사풀의 역사와 비전
-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현황과 진단
- 예술강사의 효율적인 교수법을 위한, 담당교사의 역할에 따른 인센티브 적용에 관한 연구 : 담당교사에게 적용이 가능한 가산점
- 프로젝트로서의 예술과 교육에서의 통합예술 실험
- 음악치료 개론
- 元代 公案劇의 構造
- 통합예술 교과와 예술통합 교과 운영
- 연극 강사풀의 역사와 비전 : 저는 연극 강사입니다!
- 문화정책에서 예술강사 육성지원의 전망과 과제
- 왜 문화예술교육인가?
- 문화교육의 통합적 교과과정 모델 방향
- 무용 강사풀의 역사와 비전
- 한국 연극치료의 현황과 전망
- 진정한 문화예술 교육의 정착을 바라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