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의 해석에 관한 고찰 - 닫힌 체계에 의한 인체 이미지를 중심으로 -
이용수 66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s of man's image in western clothing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수경(Kim Soo-Kyo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집』제19권 제1호, 33~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2.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the senses of beauty appeared in the man's clothes by examining the male images in the man's fashion.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history of fashion, were dramatically changed since the end of middle ages when they began to take the 'CLOSED SYSTEM' of trousers instead of the "OPENED SYSTEM' of tunic dress characterized by common bisexual clothing. According to this change, a division was mad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fashion. Second, in the modern times, man's clothes took the form of contemporary man's clothes, so to speak, that of man's suit in other to adapt itself to the industrialized society where rapid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took place.
The male images found in the man's fashion (clothes) could be explained as follow. First, man's clothes, whose form was laid found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and accomplish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ook the manlike design on strengthening the emphasis of the clear visual division between male and female clothes despite their synthetical attempt in design. So male image is characterized by manlike and manful image laying emphasis on the male sex.
Second, under the influence of industrial Revolution and Civilian Revolution which enable the transition of power from the noblesse to bourgeoisie, a image of responsibility and capability was needed in the politico-economic fields. So the contemporary self-restrained male image is reflected in the fashion, and this fashion presents a modern, standardized, urban and democratic image with due authority.
Third,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image of female clothes, man's clothes, which evolved in other to adapt themselves to the city life, represent some self-restrained and simple image, which were influenced by English Puritanism and English design styl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복식으로 표현되는 남성 인체의 사적 고찰
IV.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육의 비용과 이익에 대한 평가
- 지역 특성에 따른 성인여성의 복식색채 선호에 대한 연구
- 보육시설 활동복에 대한 어머니들의 태도 연구
-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의 해석에 관한 고찰 - 닫힌 체계에 의한 인체 이미지를 중심으로 -
- 거품 중의 공기 함량에 관한 연구
- 기혼 취업여성의 취업여건에 대한 국가간 비교
- 부천시 노인들의 영양상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 II. 부천시 노인들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
- 생활과학연구소 세미나 초록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규정
- 상담교사와 학부모의 청소년문제 경험과 부모상담/교육 요구도 실태조사 - 청소년자녀기 가족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 영유아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실태
- 여대생의 Girdle 착용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베이커리카페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