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저경력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on The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s of Low-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허영진(Yung Jin Heo)이병인(Byoung In Lee)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4호, 235~26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및 소진 현상을 이해하고, 저경력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및 소진 예방을 위한 정책적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중·고등학교 과정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5년 이하경력의 초·중등 저경력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임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것으로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저경력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및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도한 업무, 특수교사 직무에대한 버거움, 자신의 노력에 대한 낮은 보상, 다루기 어려운 학생과 부모, 마음의 상처를 주는 자신의 동료들, 자신의 노력으로 바꾸기 어려운 학교 내·외부 현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경력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및 소진 양상은 몸과 마음의 고통, 경력에 대한 고민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저경력과 특수교사라는 이중의 어려움을 가진 학교 내 교사들의 목소리를 연구에 반영하여 그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및 소진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ress and burnout phenomena of low-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policy information for preventing stress and burnout among low-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working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sults First, factors influencing stress and burnout among low-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include excessive workload, the burden of the special education duties, low compensation, students and parents who are difficult to cope with, colleagues who hurt them, and realities within and outside the school that are difficult to change through personal effort. Second, the stress and burnout patterns of low-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physical and mental pain along with concerns about their careers.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lects the voices of teachers within schools who face the dual challenges of being new to the career and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eby attempting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tress and burnout they exper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영진(Yung Jin Heo)이병인(Byoung In Lee). (2025).저경력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4), 235-263

MLA

허영진(Yung Jin Heo)이병인(Byoung In Lee). "저경력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4(2025): 235-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