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iversity Lif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Graduated from Speci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문미혜(Mihye Moon) 배세진(Sejin Bae)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4호, 93~1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를 졸업한 장애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실제 어려움과 적응 과정과요구하는 지원 내용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특수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일반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대학생 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고등학교 재학 당시 담임교사와의 면담을 병행하여, 대학 적응에 영향을 미친 학교 교육 경험과 지원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교를 졸업한 장애 대학생의 대학 진학 결정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둘째, 기본교육과정은 고등교육 진입에 필요한 준비를 구조적으로 제공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셋째, 대학 입학이후 학생들은 수업 이해, 과제 수행 외에도 친구 관계, 정보 접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반복적인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이에 대한 공식적 지원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넷째, 특수학교의 진학지도는 교사 개인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으며, 학교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나 부서 간 협력은 미흡한 수준이다. 다섯째, 특수학교와 대학 간연계 강화를 포함한 다층적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졸업생의 고등교육 이행 특수성을 반영한 진로교육 체계 강화와 대학내 지원체계의 개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o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actual difficulties, adaptation processes, and support needs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graduated from special schools.
Method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graduated from special schools and their former homeroom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First, university entry decisions of special school graduates with disabilities were shaped by multiple factors. Second, the basic curriculum showed structural limits in preparing for higher education. Third, after admission, students faced persistent challenges in academics, peer relations, and information access, with limited formal support. Fourth, university guidance in special schools relied heavily on individual teachers, lacking systematic support. Fifth, a multi-layered support system linking special schools and universities is needed.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systems that refl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pecial school graduates’ transition to higher education, and to improve support systems within univers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고등학교 지체장애 학생의 직업흥미 분석: 직업흥미검사(NISE-VISIT)를 중심으로
- 가정 순회교육을 통한 AAC 활용 요구 모델 교수가 중도 지체장애 유아의 요구하기에 미치는 영향
-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참여자의 역량 확장 경험과 인식 탐구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보호자의 인식 및 요구
- 저경력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mong Adul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 장애대학생 컴퓨터 및 디지털 활용역량 교육프로그램의 구성과 타당화: 델파이 연구
- 의료기기 의존 중증소아환자의 포괄적 발달지원 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
- 특수교사의 긍정적 정서와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 유형별 매개효과
- 특수학교를 졸업한 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및 지원 요구
- 특수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연구재단 개인연구군 선정 과제를 중심으로(2008-2024)
- 선호도 평가 기반 행복 지수 증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도중복장애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음악 교과 협력교수 실행을 통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실천적 지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음악 교과 협력교수 실행을 통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실천적 지식
- 선호도 평가 기반 행복 지수 증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도중복장애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연구재단 개인연구군 선정 과제를 중심으로(2008-2024)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