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ent Developments in English, Hong Kong, Singapore Arbitration Law Regarding the Applicable Law of an Arbitration Agreement and Implications for Korean Law
- 발행기관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김민경
- 간행물 정보
- 『민사소송』제29권 제3호, 559~608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rbitration is a preferred method of dispute resolution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Since arbitration is grounded in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arbitration agreements forms the fundamental basis of arbitration. In practice, however, issues concerning the formation and validity of arbitration agreements frequently arise. In court proceedings, questions regarding the existence, formation, or validity of an arbitration agreement may arise in three principal contexts: (a) the Court’s review of the arbitral tribunal’s decision on its jurisdiction (Article 17 Korean Arbitration Act); (b) Court proceedings in breach of an arbitration agreement (Article 9 Korean Arbitration Act;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New York Convention”), Article II(3)); (c) post-award proceedings: actions to set aside an arbitral award (Article 36 Korean Arbitration Act) and applications for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an arbitral award (Articles 37–39 Korean Arbitration Act; New York Convention, Article V). At each of these stages,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valid arbitration agreement necessarily involves identifying its governing law. Given that national laws may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approaches to the validity of arbitration agreements, an erroneous determination of the applicable law may result in incorrect outcomes. Therefore, in practice, the determination of the governing law is of critical importance. Under the New York Convention and general common law principles, the governing law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will be: (a) the law expressly or impliedly chosen by the parties; or (b) in the absence of such a choice, the law of the seat of arbitration (as per the New York Convention); or the law most closely connected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common law principles). A recurring practical difficulty arises where the parties have specified the governing law of the main contract containing the arbitration clause but have not specified the governing law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itself, and where the law of the main contract differs from the law of the arbitral seat. In such cases, the key issue is how to determine whether the parties have implicitly designated the applicable law for the arbitration agreement. This article examines recent judicial developments in the United Kingdom, Hong Kong, and Singapore addressing the principles for determining the governing law of arbitration agreements in such circumstances. It further provides a brief review and summary of relevant Korean case law and concludes with an analysis of the implications for Korean law.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중재합의의 준거법에 관한 영국, 홍콩, 싱가포르 중재법의 동향
Ⅲ. 중재합의의 준거법에 관한 한국 판결례 및 평가
Ⅳ. 결론: 한국법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사소송 제29권 제3호 목차
- 경계확정의 소에 관한 소고 - 형식적 형성소송설 비판
- 추심명령의 법적 성격과 추심채권자의 소송상 지위
- 항소심에서 원고의 청구가 감축된 경우에 독립당사자참가소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 대법원 2022. 7. 28. 선고 2020다231928 판결과 관련하여
- 건설소송에서 법원에 의한 감정절차의 통제 방안 - 감정관리센터의 도입 및 감정회의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 추가판결절차에 관한 검토
- 채권자대위소송에서 수인의 대위채권자들 상호간의 소송관계
- 부진정예비적 병합의 적법요건에 관한 검토
- 가사소송에서의 사생활 등 보호를 위한 절차보장
- 국제중재의 증거절차가 한국 증거법에 주는 시사점
- 아동 반환재판의 집행에 관한 개정 제언
- 화해합의에 대한 집행력 부여에 관한 연구
- 중재합의의 준거법에 관한 영국, 홍콩, 싱가포르 중재법의 최근 동향 및 한국법에 대한 시사점
- 각국의 조정인 윤리규범과 그 시사점 - 조정인 윤리규범의 도입필요성 및 그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