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posals for the Return of the Enforcement of Child Return Orders
- 발행기관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현소혜
- 간행물 정보
- 『민사소송』제29권 제3호, 441~502쪽, 전체 6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10,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current Ac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Hague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in Korea provides only for indirect enforcement measures—such as compliance orders, fines, and detention—in relation to the enforcement of return orders in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cases. Direct enforcement is regulated merely by court practice rules, and there remains controversy over whether additional indirect enforcement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may also be applied. This situation not only hinders the realization of the Convention’s fundamental principle of prompt return but is also undesirable from the perspective of safeguarding the human rights of the child and other parties involv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legislative reform measures concerning the enforcement of child return orders and the exercise of coercive power in such proceedings, drawing on international standards as well as German and Japanese legislative examples. The specific proposals are as follows: (1)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three who lack decision-making capacity, direct enforcement should be permitted, allowing the enforcement officer to exercise physical coercion within the necessary limits; (2) for children aged three or older, substitute enforcement should be allowed, in which the enforcement officer or an assistant explains and persuades the child on behalf of the obligor, while removing any obstruction by the obligor; (3) where direct or substitute enforcement is expected to be ineffective or has failed, indirect enforcement through monetary sanctions or detention against the obligor should be permitted; (4) if one year has passed since the judgment became final and the child explicitly refuses to return, the enforceability of the return order should be excluded; (5) judges should be empowered to select, on a case-by-case basis, the enforcement methods that best serve the child’s welfare and the goal of prompt return, while ensuring that enforcement procedures are completed within one year.
영문 초록
목차
Ⅰ. 연구의 배경
Ⅱ. 현행법상 가능한 집행 방법에 대한 검토
Ⅲ. 비교법적 검토
Ⅳ. 개정 방향의 검토
Ⅴ. 아동 반환재판 집행 절차의 정비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사소송 제29권 제3호 목차
- 경계확정의 소에 관한 소고 - 형식적 형성소송설 비판
- 추심명령의 법적 성격과 추심채권자의 소송상 지위
- 항소심에서 원고의 청구가 감축된 경우에 독립당사자참가소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 대법원 2022. 7. 28. 선고 2020다231928 판결과 관련하여
- 건설소송에서 법원에 의한 감정절차의 통제 방안 - 감정관리센터의 도입 및 감정회의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 추가판결절차에 관한 검토
- 채권자대위소송에서 수인의 대위채권자들 상호간의 소송관계
- 부진정예비적 병합의 적법요건에 관한 검토
- 가사소송에서의 사생활 등 보호를 위한 절차보장
- 국제중재의 증거절차가 한국 증거법에 주는 시사점
- 아동 반환재판의 집행에 관한 개정 제언
- 화해합의에 대한 집행력 부여에 관한 연구
- 중재합의의 준거법에 관한 영국, 홍콩, 싱가포르 중재법의 최근 동향 및 한국법에 대한 시사점
- 각국의 조정인 윤리규범과 그 시사점 - 조정인 윤리규범의 도입필요성 및 그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