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ew of the Legal Validity of Non-Genuine Subordinate Joinder of Claims
- 발행기관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박지원
- 간행물 정보
- 『민사소송』제29권 제3호, 243~292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s have recognized a ‘non-genuine subordinate joinder of claims’ only when there exists ‘a reasonable necessity’ to request adjudication in a designated order to the alternative joinder of claims. However, two later decisions have raised controversy: (1) a Decision (Supreme Court Decision, May 29, 2014, 2013Da96868, hereinafter “Decision ②”) which held that when a party brings an alternative joinder of claims under the condition of priority, the scope of review on appeal must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joinder; and (2) a Decision (Supreme Court Decision, May 7, 2021, 2020Da292411, hereinafter “Decision ④”) which recognized a non-genuine subordinate joinder of claims even in a situation that appeared to constitute a simple joinder of claims, namely where the plaintiff combined claims for property damage and emotional distress.
As a result, confusion has persisted regarding the position of the Court. According to the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first, Decision ②, although formally an alternative joinder of claims in nature, should be understood as having determined the scope of appellate review as one involving an alternative joinder of claims. Since the claims joined are equal in monetary amount, there is no reasonable necessity to file the claims conditionally in a specified order. Therefore, Decision ② does not conflict with earlier precedent.
Second, in Decision ④, the Court regarded the joined claims as being, by their nature, in an alternative joinder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under the legal principle established by precedent, under which mental suffering is not acknowledged, if pecuniary damage is recognized for property loss. Moreover, a reasonable necessity to file claims under the condition of adjudication order, may also be recognized, because a non-monetary unequal relationship can be found in this case. Therefore, Decision ④ can also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prior Supreme Court rulings.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청구병합의 적법성
Ⅲ 청구병합의 양태 및 적법요건
Ⅳ. 부진정예비적 병합의 적법요건에 관한 판례의 검토
Ⅴ.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사소송 제29권 제3호 목차
- 경계확정의 소에 관한 소고 - 형식적 형성소송설 비판
- 추심명령의 법적 성격과 추심채권자의 소송상 지위
- 항소심에서 원고의 청구가 감축된 경우에 독립당사자참가소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 대법원 2022. 7. 28. 선고 2020다231928 판결과 관련하여
- 건설소송에서 법원에 의한 감정절차의 통제 방안 - 감정관리센터의 도입 및 감정회의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 추가판결절차에 관한 검토
- 채권자대위소송에서 수인의 대위채권자들 상호간의 소송관계
- 부진정예비적 병합의 적법요건에 관한 검토
- 가사소송에서의 사생활 등 보호를 위한 절차보장
- 국제중재의 증거절차가 한국 증거법에 주는 시사점
- 아동 반환재판의 집행에 관한 개정 제언
- 화해합의에 대한 집행력 부여에 관한 연구
- 중재합의의 준거법에 관한 영국, 홍콩, 싱가포르 중재법의 최근 동향 및 한국법에 대한 시사점
- 각국의 조정인 윤리규범과 그 시사점 - 조정인 윤리규범의 도입필요성 및 그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