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ew on the Procedure for an Additional Judgment
- 발행기관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정찬우
- 간행물 정보
- 『민사소송』제29권 제3호, 185~242쪽, 전체 5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9,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rticle 212, Paragraph 1 of the Korean Civil Procedure Act only stipulates that “if there is an omission in the opening, the trial shall continue”, but does not stipulate the trial procedure. According to the general view, if there is an omission in the judgment in the existing judgment, the court shall pronounce an additional judgment ex officio, and if a party files for an additional judgment, the court shall open a hearing date and continue the trial if there is an omission in the judgment, and if there is no omission in the judgment, the court shall pronounce a judgment declaring the end of the trial. However, there are several questions about this general view.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 The right of the party to apply for an additional judgment should be recognized.
-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open a hearing date unconditionally for a motion for an additional judgment.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it is clear from the records and documents of a lawsuit that there was no omission in the judgment.
- If a party files for an additional judgment claiming an omission of the court order, and upon review,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ctual omission of the court order, it may be possible to simply dismiss the application for an additional judgment with a sort of summary judgment, but it is not desirable to make a decision to dismiss in this way, and the court should always pronounce a judgment on the application for an additional judgment.
- Therefore, if it is clear from the records and documents of a lawsuit that there is no omission of the trial, it is not necessary to designate a separate hearing date, and the court has the authority to designate only a sentencing date and just pronounce a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trial, stating that there is no omission of the court order.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추가판결신청 또는 추가판결을 위한 기일지정신청의 의미에 대하여
Ⅲ. 추가판결신청에 대하여 변론기일을 반드시 지정해야 하는가?
Ⅳ. 추가판결 신청을 각하하는 결정만 해도 되는지 여부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사소송 제29권 제3호 목차
- 경계확정의 소에 관한 소고 - 형식적 형성소송설 비판
- 추심명령의 법적 성격과 추심채권자의 소송상 지위
- 항소심에서 원고의 청구가 감축된 경우에 독립당사자참가소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 대법원 2022. 7. 28. 선고 2020다231928 판결과 관련하여
- 건설소송에서 법원에 의한 감정절차의 통제 방안 - 감정관리센터의 도입 및 감정회의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 추가판결절차에 관한 검토
- 채권자대위소송에서 수인의 대위채권자들 상호간의 소송관계
- 부진정예비적 병합의 적법요건에 관한 검토
- 가사소송에서의 사생활 등 보호를 위한 절차보장
- 국제중재의 증거절차가 한국 증거법에 주는 시사점
- 아동 반환재판의 집행에 관한 개정 제언
- 화해합의에 대한 집행력 부여에 관한 연구
- 중재합의의 준거법에 관한 영국, 홍콩, 싱가포르 중재법의 최근 동향 및 한국법에 대한 시사점
- 각국의 조정인 윤리규범과 그 시사점 - 조정인 윤리규범의 도입필요성 및 그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