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f Occupational Factor Relationships in Female Social Workers Using the Job Demands-Resources(JD-R) Model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이재무(Jae-Moo Lee)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126호, 217~24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 관련 요인을 직무요구-자원 모형(JD-R)에 근거하여 구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모형의 적용 가능성과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무요구, 직무자원, 직무소진, 직무열의, 건강문제,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요인의 영향력 및 매개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에 JD-R 모형은 대체로 적용 가능하였으며, 특히 직무요구와 직무소진이 건강문제 및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무열의가 이직의도를 낮춘다는 기존 JD-R 모형의 경로는 본 연구 집단에는 통계적으로유의하지 않았다. 직무요구가 직무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가장 강한 설명력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전략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and relevance of the Job Demands-Resources (JD-R) model to the occupational factors of female social workers.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 demands, job resources, job burnout, work engagement,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nalyzed to assess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The findings confirm that the JD-R model is largely applicable to the occupational context of female social workers, with job demands and burnout exerting the strongest influence on both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 Notably, the conventional JD-R pathway suggesting that work engagement reduces turnover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group. Among the identified mediating pathways, the indirect effect of job demands on turnover intention via job burnout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cessity of strategic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social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설계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연구 통권 제126호 목차
- 20대의 안티페미니즘 인식의 복합적 요인에 대한 젠더 비교 연구
- 출산휴가·육아휴직 제도와 유연근무제에 대한 연구: 성차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 성착취 법적 정의 필요성과 국제 기준에 따른 입법적 시사점
- 기혼여성의 자녀계획 및 자녀관련 가치관이 첫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 여성 기초자치단체장의 과소대표 원인과 정치리더십
- 여성관리자의 경력자본이 임원승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융합연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여성 연구자들의 참여와 성불평등
- 가사노동 분담 만족도와 결혼생활 만족도가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 가정폭력에 대한 반격과 위법성조각 - 비대결상황에서 반격살인을 중심으로
-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활용한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 요인 관계 구조 분석
- 누가, 왜 다른 워라밸을 경험하는가?: 한국 여성 임금근로자의 일-생활 균형 유형과 예측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BEST
- 미국의 보육정책 - 시장화 전략과 잔여적 보육정책
-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의 어려움과 대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